earticle

논문검색

인문과학

1930년대 공연 대본에 나타난 여성의 몸과 수난 모티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exuality and Suffering Motif of Women of Korean Popular Drama in the Half 1930s

김남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makes a review of the sexuality and suffering motif of women in the half 1930s. And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s between the repertories and Korean popular theater companies in the half 1930s. I studied the sexuality and suffering motif of women on the seven popular plays.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with a purpose to examine and to understand the social environments and cognition of the actual world described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한국어

본 연구는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의 공연 대본을 집중적으로 논구한다. 현 재까지 남아 있는 대중극단의 대본은 극히 희귀하며, 이 역시 완전한 대본으로 간 주하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 공연 대본으로서의 가치보다는 기록물로서의 가 치에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료적 희귀성은 분명 1930년대 대중극단의 활동상 고찰과 대중극 연구에 막대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은 대중 본위 연극을 펼쳤고, 이러한 공연 목표를 달 성하기 위해 대중이 선호하는 소재나 모티프를 도용하고 있었다. 여성의 ‘몸’ 관련 담론과 ‘성’ 관련 모티프는 이러한 소재나 모티프에 해당된다. 본고는 동양극장 출 범 이전 대중극단 레퍼토리의 특징과 미학을 밝혀내기 위한 방편으로, 소재나 모 티프로서의 ‘몸’과 ‘성’에 관한 연극적 담론을 추적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문제 제기 및 대상 작품
Ⅱ. 여성 신체의 매매와 정조 관념의 강박
Ⅲ. 교환가치로서의 여성과 물물교환으로서의 성애
Ⅳ. 강간의 공포와 도덕적 자책
Ⅴ. 대상으로서 여성 신체와 폭압적 남성의 시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남석 Kim, Nam-seok.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