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문과학

별뢰사가합(別雷社歌合)에 나타난 후지와라 데이카(藤原定家)의 최초 시가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Fujiwarano Teika's Poems in Wakeikazuchinoyasirono-Utaawase(別雷社歌合)

안수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attempted to prove that Fujiwarano Teika's poems in Wakeikazuchinoyasirono- Utaawase(別雷社歌合) were composed in 1178(治承二年). His poems that attempted an experimental aesthetic consciousness were only 3 poems in this poem's competition. Teikawas greatly influenced by his father Fujiwarano Shunzei(藤原俊成)and somany scholarswho hadwritten poetic theories,Kino Tsurayuki(紀貫之),HujiwarannoKinto (藤原公任) and so on. This study dealt with analyzing the ingredients of yugen(幽玄), yozyou(余情), youen(妖艶) in 3 poems, deduced poetic expression ushin(有心). Even though Teika was given a hard-headed assessment of the judge of the poem's competition (判詞) by FujiwaraShunzei (藤原俊成), he developed his theory ofmaking poems.Teika made clear viewof Art, there are not sign of ushin(有心) ostensibly, began to gain selfconfidence from this work. In conclusion, I think tha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eika's 3poems in Wakeikazuchinoyasirono-Utaawase(別雷社歌合) to understand his poetic beliefs. Therefore these 3 poems have the possibility to establishTeika's poetic ideal ushin(有心).

한국어

일본의 중세 시가를 관통하는 미적 이념은 유현(幽玄)과 유심(有心)이 2개의 중 심축을 이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유심은 후지와라노 데이카(藤原定家)가 평생에 걸쳐 고뇌한 끝에 수립한 미의식이며 이 미의식을 바탕으로 형상 화한 표현양식으로서 유심체(有心体)를 주창하였다. 유심(有心)은 시적 대상에 대한 인식의 차원을 넘어 시적감동이자 작가와 타자 의 심상을 형상화하는 개념이다. 당시 주류 가단(歌壇)은 유심의 개념을 제대로 이 해하지 못하여 시가의 전통을 부인하는 전위적인 달마가(達磨歌)라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이후 사다이에는 문학적 정진을 계속하여 가론(歌論)의 3대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근대수가( 近代秀歌), 매월초( 毎月抄), 영가대 개( 詠歌大概)를 통하여 그의 노래에 대한 이상 즉 유심(有心)을 수립하였다. 철저한 고전주의를 강조한아버지 도시나리(俊成)로 부터 엄격한교육을 통하여 일찍이 고전에 대한 안목을 갖게 되었고, 헤이안(平安)시대의 전반적인 가풍(歌風) 에 대한 착상과 수사법 등 이른바 노래의 전통을 체득한 그의 나이 17세 때 최초로 공식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 것이 바로 별뢰사가합( 別雷社歌合 )이다. 905년 고금집( 古今和歌集) 편찬자 기노츠라유키(紀貫之)의 가풍 이후 전통 을 존중하면서도 츠라유키가 놓친 언어(言外)의 표현 즉 여정요염(余情妖艶)의 미 적 가치를 긍정하였다. 하지만 고정화된 고금집 전통으로 훗날의 그가 인식한 여 정, 요염, 유현, 유심과 같은 미적 이념이 본 시가의 내면을 관통하기 시작하였다 고 볼 수 있다. 모방과 창조라는 이중구조에서 전통을 체득하면서 데이카는 자신 만의가관(歌觀)을 명료화하고 자기류의 사상을피력하였다는 사실이다. 그 배경에 는 가도(歌道)를 계승하는 집안의 후손으로서 노력한 점과 또한 그 아버지로부터 엄한 교육이 가인으로서 자리매김하기에 지대한 영향이 있었을 부인할 수 없다. 본 가합(歌合)에서 읊은 노래는 3수에 불과하지만 향후 중세를 이끄는 새로운 미 의식유심(有心) 수립을 잉태하기 위한첫 걸음을 시작한 작품이었다는 점에그 의 미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I. 序
II.「別雷社歌合」における定家美学の模索
1.「別雷社歌合」の概要と定家の登場
1)「別雷社」の概要
2)「別雷社歌合」の概要
2. 「別雷社歌合」三題における定家美学
1) 題詠の伝統
2)「霞」題と定家詠
3)「花」題と定家詠
4)「述懐」題と定家詠
III. 結
参考文献
<日文要約>

저자정보

  • 안수현 An, Soo-hyun. 부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