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시대 공장(工匠) 운영과 성격 고찰 - 조탑 공장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Study on Management and Character for Artisans in Koryo Dynasty.

홍대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tisans were engineers who were engaged in handicraft production activities and large repairs. In Korea period, they were divided into National Technician(國工匠) a local public technician(京外工匠) Monks technician(工匠僧) depending on the group. In early national foundation, Korea dynasty erected a large number of temples and pagodas based on Dosun's(道詵) with emphasis on the Complementary Buddhist Pagoda(寺塔裨補說) in addition to palaces and secretariat facilities. These artisans led to Buddhist rituals and services, according to retention skill, various groups were participated in these activities. The artisans were managed by national level through artisan list which were made in Hyunjong(顯宗), after military revolt, new groups who depended on local potentates and temples were increased. This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bad control of central government, that caused the decrease of labor and tax. Various artisans were participated in the pagoda buildings which were proceeded actually through total period of Korea dynasty. In the early period, only stonemasons took part in the works, but by gradually technical skill, the works were divided into stonemasons, masons and Carving letters(刻字) etc. Also, operation system which controlled each artisans existed through the name like to Baek-sa(伯士), Tae-jang(太匠) etc. These maintenance organization lasted through the total period of Korea dynasty, but as the latter part go by, through emerging from national control, also organizing centrally local potentates and temples, these brought about the decrease of high technical artisans.

한국어

공장은 대규모 영선(營繕), 수공업생산 활동에 종사하는 기술자로 고려시대에는 소속집단의 기능에 따라 국공 경외공장 공장승 등으로 구분된다. 고려는 건국 초 궁궐, 관방시설 이외에도 도선의 사탑비보설에 근거해 사찰과 불탑을 다수 건립한다. 이들 불사를 주도한 것은 공장들로, 보유 기술에 따라 다양한 집단의 참여가 이루어졌다. 공장은 현종 때 집성된 공장안(工匠案) 을 통해 국가 차원에서 관리되었으나, 무신 난 이후부터 지방유력자와 사원에투탁해 활동하는 부류가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중앙정부의 통제부실에 기인한 것이며, 역과 세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고려 전 기간 활발하게 진행된 석탑건립에는 다양한 명칭의 공장이 참여하였는데, 초기에는 단순히 석장(石匠)만이 쓰였으나 점차 석장, 석수, 각자(刻字) 등 기 능에 따라 세분되었다. 또한 백사(伯士), 태장(太匠) 등의 명칭을 통해 개별 공장을 통제하던 운영방식이 존재했다. 이러한 영선조직은 고려 전 기간 유지되었으나 후 기로 갈수록 국가통제를 탈피해 사원과 지방 유력자 중심으로 편제됨으로써 고급 기술을 보유한 공장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고려시대 공장 운영
1) 국공(장)
2) 경외공장
3) 불사 경영과 공장승
3. 조탑 공장의 성격과 역할
4. 맺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대한 Hong, Dai-han. 상명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