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북학파 유수원과 홍대용의 교육개혁론 연구

원문정보

Education reform of Yoo Soo-won and Hong Dae-yong from the Bukhak-school in the end of Joseon Dynasty

김은하, 박종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conduct overall study of the education reform of Yoo Soo-won (styled Nongam) and Hong Dae-yong (styled Damheon). We looked at the problems in education system in the end of Joseon Dynasty that were raised by Yoo Soo-won and Hong Dae-yong, and their proposed education reform. Yoo emphasized reform in the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to develop practical abilities. This means he wanted to seriously consider Yulhak (study of law) and subjects that can be applied to practical affairs and cut off any of dishonesties in the examination room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Hong proposed Gong-geo system (a system started in ancient China that nominated good students to the government) so that we could restore the primary meaning of the public official appointment system and reduce negative influences of the previous system. He claimed the Gong-geo system does not jud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ability to write but will allow us to generally examine students by observing them during their school years in the long-term basis. Like this Yoo and Hong’s purpose in the education was to foster productive, practical and pragmatic human resources, which have characteristics of today’s people. Their education reform arguments have some insufficiencies to say that it was completely out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principle. Moreover, they had a limitation in which they were not in the position to practice the education system reform. However, when we take the limitation of the time into account, their education system reform can be considered as it had modern day’s meaning of education as it had equality in giving education chances and idea to expand compulsory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농암 유수원과 담헌 홍대용이 제시한 교육개혁론을 종합적으로 고찰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수원과 홍대용의 조선후기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함께 그들이 제시한 교육개 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유수원은 실무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과 학제의 개편, 그리고 과거와 학교 교육의 유기적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즉 율학(律學)이나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과 목을 중시하였고 과거 고사장의 부정을 철저하게 차단하고자 하였다. 홍대용은 과거제도의 폐해를 줄이고 교육과 관리등용제도의 본래 의미를 회복 할 수 있도록 공거제를 제안하였다. 공거제도는 교육평가에 있어서 문장력만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의 학교관찰을 통한 전인적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유수원과 홍대용이 추구하는 교육목표는 생산적이고 실용적이며 실 천적인 인간을 육성하고 아울러 현대적인 모습의 인간상을 양성함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그들의 교육개혁론은 전통적인 유교적 교육이념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또한 그들이 교육제도개혁을 실천할 수 있는 위치 에 있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의 시대적 제약성을 생각해 볼 때 그들의 교육개혁론은 교육기회의 평등과 의무교육확대 등이 담겨있다는 점에서 현대 교육적 의의를 갖고 있다고 평 가할 수 있을 것이며, 뚜렷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종래의 관념론적 논쟁이아닌 현 실에 입각한 개혁을 시도하였다는 것은 한국교육학 사상 획기적인 논의였다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조선 후기 교육 실태
3. 유수원의 교육개혁론
가. 초등교육개혁론
나. 학교제도 개혁
다. 과거제도 개혁
4. 홍대용의 교육개혁론
가. 초등 의무 교육
나. 관리임용제 개혁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하 Kim, Eun-Ha. 서강중학교 교사
  • 박종석 Park, Jong-Seok.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