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신장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스피커, 챗봇 등과 같은 AI 기반 제품(AI-Enabled Products)의 출시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AI 기반 제품이 지닌 편익을 중심으로 소비자의 수용의도를 밝히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AI 기반 제품이 지닌 특징을 고려하여 속성을 분류하여 각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효용 가치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DeLone과 McLean의 IS Success Model을 바탕으로 AI 제품 속성을 AI 속성과 Non-AI 속성으로 구분하고,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각 속성이 지닌 효용 가치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제품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AI 제품의 수용 시점에 따른 AI 제품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각 응답자의 효용 가치를 기반으로 군집 분석을 통해 시장을 세분화하고, 각 세분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특징과 니즈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AI 기반 제품의 특성과 속성에 대한 개념적으로 구조화된 틀을 제시하는 이론적 시사점과 각 세분시장에 따라 최적화된 AI 제품 개발 방향을 제안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모델
2.1 AI 기반 제품 속성
2.2 해석수준이론
2.3 컨조인트 분석
3. 연구방법
3.1 속성수준 선정
3.2 컨조인트 설계 및 연구 절차
4. 분석결과
4.1.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4.2. 컨조인트 분석 결과
5.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5.2.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Referenc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모델
2.1 AI 기반 제품 속성
2.2 해석수준이론
2.3 컨조인트 분석
3. 연구방법
3.1 속성수준 선정
3.2 컨조인트 설계 및 연구 절차
4. 분석결과
4.1.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4.2. 컨조인트 분석 결과
5.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5.2.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References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