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 日本語學

現代日本語と現代韓国語の「若者言葉」と「打ち言葉」

원문정보

Youth language and Typed language of modern Japanese and Korean

金曘泳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modern Japanese ‘Youth language’ and ‘Typed language’ in ‘Youth language’. Based on this, we investigate and classify the ‘Youth language’ created by the vocabulary ‘change of media and technology dependence’ that can be classified as ‘Typed language’ among ‘Youth language’ in modern Japanese and modern Korean. Through this, we have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he words ‘Youth language’ and ‘Typed language’. Here is a brief summary. ‘Youth language’ is a word originating from fashion in a group or generation, and it has ‘Opaqueness’ which is not known to outsiders at all. On the other hand, the ‘Typed language’ has an element such as ‘Written language’ because it is based on a CMC-based word such as a text chat, and it is mediated by an input character. At the same time, ‘Typed language’ is used in ‘internet network medium’ such as SNS. And ‘Typed language’ is used in speedy conversation, such as direct conversation in person, so it also has ‘spoken’ elements. However, ‘Typed language’ obscure the boundary between ‘W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but they do not use ‘Paralanguage’ information or non-verbal communication information because they do not use voic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weaknesses, ‘Typed language’ are words or texts that are far from the normative language composition and emotional methods, such as using a combination of creative characters, usage methods, emoji and stickers on the ‘internet network medium’. As a result, the principle of the new language structure by ‘Typed’ and ‘Network mediation’ has increased the ‘Opacity’ of meaning in the ‘Typed language’, and as a result, it becomes ‘Youth language’.

일본어

本稿では,現代日本語の「若者言葉」の定義と分類に関する先行研究,さらに「若者言葉」の中の「打ち言葉」における先行研究を踏まえて,現代日本語と現代韓国語の「若者言葉」の中でも「打ち言葉」として分類できる「媒体の変化・技術依存」の造語法による「若者言葉」を調査・分類・考察を行った。そうすることによって,「若者言葉」でありながら「打ち言葉」である語の造語法の特徴と発生原因を明らかにしたが,それを簡単にまとめると以下のようである。 「若者言葉」は若者の集団内或いは世代内で流行りだした言葉であって,よそ者にとってはその意味がまったく分からない,「不透明性」を持っている。一方,「打ち言葉」は文字チャットなどCMCにおける言語は「入力」された文字を媒介とするため「書き言葉」のような要素を持ちながら,SNSなどの「ネット媒体」でまるで対面して直接会話するようなスピード感のある会話の中で使われるため「話し言葉」の要素も持ち合わせている。しかし「打ち言葉」は,「書き言葉」と「話し言葉」の境界線を曖昧にさせる一方,声を使わないためにパラ言語による情報あるいは非言語コミュニケーション情報やパラ言語情報が得られない。そのような弱点を補うために,「打ち言葉」は「ネット媒体」で,創造的な文字の組み合わせや使い方,絵文字やスタンプなど様々な記号の使用など,規範的な語構成・正書法とは異なる語・テキストになったのである。そのような「入力」と「ネット媒体」による新しい語構成の原理は結果的に「打ち言葉」における意味の「不透明性」をあげ,「若者言葉」になったのである。

한국어

본고에서는 현대일본어의 ‘젊은이들의 유행어(若者言葉)’의 정의와 분류에 관한 선행연구, 그리고 ‘젊은이들의 유행어’ 속의 ‘입력어’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현대일본어와 현대한국어의 ‘젊은이들의 유행어’ 중에서도 ‘입력어’로 분류 가능한 ‘매체의 변화・기술의존’ 조어법에 의해 만들어진 ‘젊은이들의 유행어’를 조사 및 분류 그리고 고찰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젊은이들의 유행어’이면서 ‘입력어’이기도 한 말들의 조어법의 특징과 그 발생 원인을 명확히 했는데, 이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젊은이들의 유행어’는 집단 혹은 세대 속에서 유행으로부터 시작된 말로서, 외부인에게 있어서는 그 의미를 전혀 알 수 가 없는 ‘불투명성(不透明性)’을 갖고 있다. 한편, ‘입력어’는 문자 채팅 등 CMC를 기반으로 하는 말로서 ‘입력’된 문자를 매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문어(書き言葉)’와 같은 요소를 갖고 있으면서도, SNS 등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매체’ 상에서 마치 대면해서 직접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이 속도감 있는 회화 속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구어(話し言葉)’ 적인 요소도 함께 갖고 있다. 그렇지만, ‘입력어’는 ‘문어’와 ‘구어’의 경계선을 애매하게 만들어 버리는 한편, 소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준언어(paralanguage)’에 의한 정보 혹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정보 등을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입력어’는 ‘네트워크 매체’ 상에서 창조적인 문자의 조합이나 사용법, 이모티콘이나 스티커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는 등, 규범적인 어구성 및 정서법과는 동떨어진 말 혹은 텍스트가 되었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입력’과 ‘네트워크 매개’에 의한 새로운 어구성의 원리는 결과적으로 ‘입력어’에 있어서 의미의 ‘불투명성’을 높이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젊은이들의 유행어’가 되었다고 하겠다.

목차

<要旨>
Ⅰ. はじめに
Ⅱ. 先行研究及び問題提起
Ⅲ. 資料調査及び方法
Ⅳ. 本論
Ⅴ. おわりに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金曘泳 김유영. 同徳女子大学・日本語学科・副教授,日本語語彙論・コーパス言語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