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한일문화의 전승과 지의 교류 - 한·일 고전번역의 현황과 과제

지식 교류의 차원에서 본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 연구 - 번역 개념과 번역 정책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ranslation Problem of Moder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Exchange - Focusing on translation concept and translation policy -

김경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at objectively describing the realities of translation problems and translation policies in modern Korea. Translation means translating articles from another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and plays a key role in knowledge circulation and exchange. The use of this term is based on the JOSEONWANGJOSILROK(朝鮮王朝實錄), and it appears from before the 15th century, and it appears that the terms 飜譯, 翻譯, 繙繹 seem to have been mixed in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at, the modern translation scope included translating foreign language into Korean and translating into Korean-style Chinese text(漢文). Translation has an important function in communication and knowledge exchange. In this regard, various translation problems arise in the case of the modern age, where knowledge circulation has become active, and policy debates are emerging to solve them. However,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different in modern China, Japan, and Korea.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this is a major phenomenon in relation to the policy and translation issues that emerged at this time, such as the compilation of Park Mun-guk’s(博文局) compilation the MANGUKJEONGPHYO(萬國政表).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translations in the textbooks of translated editions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modern-style school system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national countermeasures.

한국어

이 글은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와 번역 정책의 실상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번역은 다른 언어의 글을 또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을 말하며, 지식 유통과 교류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용어가 사용된 것은 조선왕조실록을 근거로 할 때, 15세기 이전부터로 보이며, 한자 표기로 볼 때 ‘飜譯, 翻譯, 繙繹’ 등의 용어가 혼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근대의 번역 범위에는 외국문을 국문(國文)으로 번역하는 것과 한문(漢文)으로 번역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었다. 번역은 의사소통과 지식 유통 차원에서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이 점에서 지식 유통이 활발해진 근대의 경우 각종 번역 문제가 등장하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논의가 등장한다. 다만 이에 대한 해결책은 근대 중국, 일본, 한국의 대응 방식이 다르다. 중국의 1868년 강남 제조총국 번역관 설립, 일본에서 번역과 관련된 문부성의 역할 등과 같이 근대 지식 유통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강했던 데 비해, 한국의 경우 그러한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1886년 박문국 편찬 󰡔만국정표󰡕, 1893년 오횡묵이 편찬한 󰡔여재촬요󰡕의 범례에 나타난 인지명 번역 원칙 등은 이 시기 등장한 대표적인 번역 문제이자 정책과 관련하여 주목할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근대식 학제 도입과 함께 학부 편찬 교과서 가운데 다수의 번역서가 존재하는 점도 국가 차원의 대응 방식 가운데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번역의 기능과 번역 정책
Ⅲ. 한국 근대의 번역 정책과 번역 현상
Ⅳ. 결론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김경남 Kim Kyungnam.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