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뇌졸중 환자 대상의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기능회복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원문정보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Recovery of Functional in individuals Strok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박서아, 김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Virtual Reality(VR) program on recovery of functional in Stroke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he following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RISS, KISS, KMbase. Keywords included ‘stroke’, ‘CVA’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program’ and the evaluated articles were published from 2009 to November 2018. The statistical was used R program, the effect size of upper limb, balance and ADL were calculated by random-effects model. As a result, 9 RCT studies were meta-analyzed and were evaluated for the risk of bias by the RoB of Cochrane Collaboration; the overall risk of bias was low. The effect sizes of VR program was balance(g=.77), ADL(g=.80) as indicated by a “large effect size”. Therefore, VR program is large effective in reducing balance and ADL in strok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virtual reality-based program using more efficient program development.

한국어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한국 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Mbase)를 활용하여 ‘뇌졸중’, ‘뇌경색’, ‘상지기능’, ‘균형’, ‘일상 생활능력’, ‘운동훈련’, ‘운동중재’ ‘재활’ ‘가상현실’, ‘가상현실 교육’, ‘가상현실 프로그램’ 을 검색어로 최근 10년(2009년 ∼2018년)간 문헌을 검토하였다. 분석은 R을 이용한 임의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상지기능, 균형과 일상생활 능력의 효과 크기를 각각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RCT 9편을 분석하였다. 개별문헌은 Cochrane Collaboration의 RoB (Risk of Bias) 도구를 통해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으며, 전반적인 비뚤림 위험은 낮았다. 본 연구결과 균형에 대한 효과크기 (g=.77),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효과크기(g=.80)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일상생활 능력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향후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 이용한 보다 효 과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의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
2.3 자료 검색 및 선정과정
2.4 자료 선정과 문헌의 질 평가
2.5 자료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자료선정
3.2 질 평가 결과
3.3 체계적 문헌고찰 대상 문헌의 일반적 특성
3.4 뇌졸중 환자 대상의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의 전체 효과분석
3.5 조절효과분석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서아 Seo-A Park.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박사과정
  • 김혜영 Hye-Young Kim.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