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Fake news is a form of misinformation that has the advantage of rapid spreading of information on media platforms that users interact with, such as social media. There has been a lot of social problems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fake new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such false news. Previous research on fake news detection mainly focused on text analysis. This research focuses on a network where social media news spreads, generates qualities with DeepWalk, a network embedding method, and classifies fake new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conducted an experiment on fake news detection using 211 news on the Internet and 1.2 million news diffusion network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false network detection using network embedding is 10.6% higher than that of text analysis. In addition, fake news detection, which combines text analysis and network embedding, does not show an increase in accuracy over network embed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detection of fake news that organizations spread online.
한국어
가짜 뉴스는 소셜 미디어와 같이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미디어 플랫폼에서 정보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이점 을 가지는 오류 정보(misinformation)의 한 형태이다. 최근 가짜 뉴스의 증가로 인해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하 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가짜 뉴스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전의 가짜 뉴스 탐지는 텍스트 분석을 사용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뉴스가 확산되는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고, 네트워크 임베딩 방법인 DeepWalk 로 자질을 생성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가짜 뉴스를 분류한다. 인터넷에 공개된 뉴스 211개와 120만개의 뉴스 확산 네트워크 데이터를 사용한 가짜 뉴스 탐지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텍스트 분석에 비하여 네트워크 임베딩을 사용한 가짜 뉴스 탐지의 정확도가 최소 1.7%에서 최대 10.6%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텍스 트 분석과 네트워크 임베딩을 결합한 가짜 뉴스 탐지는 네트워크 임베딩에 비해 정확도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나 조직은 온라인 상에서 확산되는 가짜 뉴스 탐지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관련 연구
2.1 가짜뉴스 탐지(Fake News Detection)
2.2 네트워크 임베딩(Network Embedding)
3. 연구 방법
3.1 연구 데이터
3.2 연구 절차
4. 실험 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