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직프렌드십 관리로서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자율성이 공무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민대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ngagement, Job Autonomy as Organizational Friendship Management on Innovation Behavior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ivic Responsiveness

최예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riendship management(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ngagement, job autonomy) influencing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behaviour and moderating effects of civic responsiveness (customized public servic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findings are that length of service affected innovative idea development positively. And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accomplishment affected innovative behaviour positively. Also, identification of workplace problems as self-problems affected innovative behaviour positively. And organizational affiliation and putting one’s work a meaning affected development of the innovation tools and technology positively. The originality of work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public services of the organization also positively affected the innovation behavior. And when organizational memb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executives and the organization developed customized public services, 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innovation ideas.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provide an incentive system that encourages the long-term work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member’s participation in innovation activities. Second, various motivation systems such as personal performance report of public officials, feedback and knowledge sharing and joint learning opportunities, and a reward system are prepared. Third, it assures the opportunity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present diverse opinions and encourages new ideas. Fourth, it provides discretion to organizational members, provides financial rewards proportional to the results, and produces a generous organizational culture that is tolerant of failure.

한국어

본 연구는 조직프렌드십 관리전략의 일종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자율성 등을 중심으 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보고, 주요 영향요인들과 혁신행동 의 관계에서 시민대응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근속년수는 혁신 아이디어 개발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일에 대한 만족도와 성취감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장문제를 자기 문제화하는 것 은 혁신행동에, 직장 소속감과 직장에 중요한 의미 부여는 혁신도구 및 기술 개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업무에서 독창성 발휘와 조직의 시민맞춤형 공공서비스 개발도 혁신행 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상급자 만족도가 높고 조직이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개 발하는 경우 혁신 아이디어 개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직장문제를 자신 문제로 인식하거나 일 처리순서 결정권한을 가지면서 조직이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개발하는 경우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에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장기근무와 혁신활동 참여를 독려하는 인센 티브 제도를 마련한다. 둘째, 조직구성원들의 개인성과 보고, 피드백과 지식공유 및 공동학 습기회, 포상제도 등 다양한 동기부여 제도를 마련한다. 셋째, 조직구성원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기회를 보장하고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을 권장한다. 넷째, 조직구성원에게 업무수행 과정상 재량을 부여하고 성과에 비례하는 금전적인 보상과 포상 등을 제공하며 실패에 관대 한 조직문화를 양산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조직프렌드십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자율성
2. 혁신행동과 대응성으로서 고객맞춤형 서비스
3.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III. 연구설계
1. 분석 틀
2. 주요 변수 및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IV. 분석결과
1. 혁신행동(혁신아이디어 개발)의 결정요인 및 조절효과 분석결과
2. 혁신행동(혁신도구 및 기술개발)의 결정요인 및 조절효과 분석결과
3. 분석적 함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예나 Choi, Yena. 강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