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부모를 둔 비장애 아동의 행복한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원문정보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Happy Life of Non-disabled Children

손경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happy life for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parents through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parents using welfare centers. As a result, 76 meaningful statements related to a happy life, eight categories of 20 topics have been drawn up,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a happy life for a child is 'a happy life for parents', 'a life where parents are recognized' and 'a life where parents are no different from other families,' and 'a life where a child is living happily' as an 'economically stable life' and 'a life with disabilities' As such, I believe that since this period is important for children,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ways to intervene and improve awareness of the disabled and the role of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부모를 둔 비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장애부모를 둔 비장애 아동의 행복한 삶의 본질적 의미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행복한 삶과 관련된 76개 의미 있는 진술, 20개의 주제 8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으며 아동이 행복한 삶의 본질적인 의미로는 ‘부모님이 행복해 하는 삶’,‘ 부모가 인정받는 삶’, ‘부모님이 건강한 삶’ ‘다른 가족과 다를 것이 없는 삶’ 4개의 범주로 나타났고, 아동이 행복한 삶을 살기 조건으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 ‘장애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사람과의 만남의 삶’ ‘함께 여행하는 삶’,‘‘아동으로 인정받는 삶’ 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볼 때 아동들에게는 이 시기가 중요한 만큼 더욱더 행복한 삶을 느낄 수 있는 개입방안과 장애인을 바라보는 인식개선 및 옹호자의 역할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한계
2. 이론적 배경
2.1 부모의 장애와 아동
2.2 행복한 삶
3. 연구 방법 및 설계
3.1 연구 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3.2 연구절차
3.3 자료 분석 방법
4. 연구결과
4.1 장애부모 둔 비장애아동의 행복한 삶의 의미
4.2 장애부모 둔 비장애아동의 행복한 삶의 조건 의미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손경숙 Kyung Sook Son. 수원여자대학교 사회복지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