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주민을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독일사례연구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Social Integration Program for Immigrants in Germany

이향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rapid progress of globalization, the meaning of social integration has now become more complex, leaving integration among people of the same national background. In our case, there is no long history of social debate on foreign immigrant social integration programs, but there are already countries such as Germany, Australia, and France who are worried about the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of foreign immigrants.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ahead of us, discussed a lot of them, and tried to find out the policy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ase of Germany which operates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comparatively well. Germany is regarded as a country in which immigration history is not only longer than that of us but also operates immigration policies and social integration programs more reliably than we are. As a result, Germany is promoting a unified social integration policy at the federal level and encouraging migrants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and application for entry and st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migrants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discussed.

한국어

세계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이제 사회통합의 의미는 특정 국가의 동질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통합을 떠나 훨씬 더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우리의 경우 외국이민자 사회통합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역사가 길지 않으나 이미 독일, 호주, 프랑스 등 우리보다 앞서 외국이민자 사회 통합문제를 고민해 온 나라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통합정책을 우리보다 앞서 도입하고 이를 위해 많은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비교적 모범적으로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독일의 사 례를 살펴보고 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독일은 이민역사가 우리보다는 길 뿐 아니라 이민정책이나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우리보다는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 분 석결과 독일은 연방정부차원의 통일된 사회통합정책의 추진하고 있으며, 사회통합프로그램과 입국 신청 및 체류 등과의 연계하여 이주민들로 하여금 사회통합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조직의 이주민 사회통합에 있어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해외사례 선정의 기준
Ⅱ. 독일의 이주민 현황과 이민정책의 개관
1. 독일의 이주민 현황
2.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법체계 및 제도
Ⅲ. 독일의 사회통합정책 추진체계
Ⅳ. 독일의 사회통합정책의 시사점
1. 연방정부차원의 통일된 사회통합정책의 추진
2. 사회통합프로그램과 입국신청 및 체류 등과의 연계 추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향수 Hyangsoo Lee.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공공인재대학 행정학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