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저출산 정책의 전환과 국가뿌리산업 기술교육의 역할 : 후천적기술국민양성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onversion of Policie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and the Role of an Education on the Fundamental Industrial Technologies : Focused on the Program for Fostering the Acquired Nation People with Technical Skills

이승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low fertility phenomenon which Korea society has been suffering in 21st century is based on the problem of cultural conversion in marriage and childbirth. The marriage and childbirth activities that have been lasted with almost whole human history are ending like a broken revolution within a half-century. The cultures which reached the end of their life cannot be recovered in artificial methods such as a government’s budget execution. The main political solution of Korean government against the low fertility trend is expanding a disposable income and a leisure time for the social fertile class by spending its mega-budgets. However, these economical supports of providing a softer life for the social fertile class cannot play a role of boosting the fertility rate over a common welfare benefaction.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an alternative solution named ‘the program for fostering the acquired nation people with technical skills’. The population growth is feasible through accepting the migrants who had an official education on the fundamental industrial technologi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se technically trained migrant people who can keep economical self-perpetuating ability are expected to contribute impeding the declining working-age population and the reducing potential growth rate in Korea.

한국어

21세기 한국이 겪고 있는 저출산은 문화전환의 문제이다. 사회학적, 역사학적, 문화론적 관점에 서 출산문화는 혼인문화와 함께 종말을 맞이하고 있다. 인류문화사와 함께 지속되었던 혼인 및 출산 문화는 50여년 짧은 혁명과 같은 사회변화로 종료되고 있으며, 수명을 다한 문화는 예산투입과 같은 방법으로 자생적 복구를 할 수 없다. 현재 저출산 대응책의 핵심은 출산가능 계층에 대하여 출산 전 후 ‘경제적・시간적 여유’를 지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여유는 복지혜택 증대 이상의 실제적인 출산장려 기능을 하지 못한다. 본고는 이에 후천적기술국민양성론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뿌리산업 기술교육을 통하여 경제적 자생력을 갖춘 이민자를 국민으로 수용하고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함께 하락하는 잠재성장률을 방어하는 것이 후천적기술국민양성론의 핵심 목적이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출산문화의 종말
1. 사회학적 관점의 혼인문화 종말
2. 역사학적 관점의 출산문화 종말
3. 문화론적 관점의 출산문화 종말
Ⅲ. 경제적・시간적 여유와 출산율
1. 국민소득과 출산율
2. 실질적 경제여유 및 여가시간과 출산율 관계
Ⅳ. 한국의 저출산 대응정책
1.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과 성과 (2006~2010)
2.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11~2015)
3. 소결론: 제 1차, 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추진 결과
Ⅴ. 후천적기술국민양성론
1. 정의
2. 필요성
3. 이행 방법론
Ⅵ. 국가뿌리산업기술과 후천적기술국민양성
1. 뿌리기술의 정의
2. 뿌리기술의 후천적기술국민양성 교육지원
3. 다민족 국가에 대한 선택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재 Seung Jae L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뿌리산업기술연구소 소장실 하 전략기획팀 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