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고구려의 노동교환혼(勞動交換婚)적 특징 연구 - 동북지역 고대민족과 비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abor exchange marriage of Goguryeo - A Comparative Study on the Old People in Northeast Asia -

김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amined the unique marriage folkway of Goguryeo of acquiring a woman after a man provided labor to the bride's house. The marriage of Goguryeo is performed when a son-in-law acquires his wife after staying and providing labor to the bride's house for a long time. The official marriage is completed when the man comes back to his own house with his wife and children. In the preliminary marriage stage, the bride's house has the initiative. The reasons why a son-in-law provides labor to the bride's hous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highly because of the influence of Dongho-line race. I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same lines with Goguryeo such as Yemaek-line, Suksin-line, and Dongho-line, the example of providing labor to bride's house is only shown in Dongho-line. However, there are no common features except for the provision of labor. Second, due to the poor agricultural economy, the commoners of Goguryeo could not pay the value of brid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cord, out of the Northeast races, Goguryeo was the only state which was economically poor. In the agricultural economy emphasizing the fertility and labor of women, the poor families could not provide the value of bride, so that men had to secure women by providing their labor to bride's house. Third, the contradiction of social structure caused by the tumid laborless nobility became the cause for the poorness of agricultural economy, which contributed to the firm settlement of labor exchange marriage. The cause for the labor exchange marriage in the marriage folkway of Goguryeo was the interaction of social contradiction by poor agricultural economy and the tumid nobility. It would be necessary to more closely research if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exchange marriage shown in Dongho-line race are the independent invention or exchange. However, even though there were interactions between Dongho-line and Goguryeo, the definite fact is that it was more solidified and settled down as tradition in Goguryeo because of its poor economic condit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남성이 신부측에 노동을 제공하고 여성을 획득하는 고구려의 독특한 혼인습속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구려 혼인은 사위가 장기간 처가에 머물며 노동력을 제공하고 아내를 획득하며, 정식 혼인은 처자식을 데리고 자신의 집으로 돌아옴으로써 완성되며, 예비혼인단계에서는 여자측에서 주도권을 장악한다는 특징이 있다. 사위가 장기간 처갓집에 노동을 제공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동호계 민족의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 고구려와 같은 계통인 예맥계, 숙신계, 동호계 민족과 비교한 결과 처가에 노동을 제공하는 예는 동호계에서만 등장한다. 그러나 노동을 제공 하는 것 외에 다른 점에서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없다. 둘째, 고구려의 평민은 열악한 농업경제로 인하여 신부값을 제공하지 못했다. 문헌기록을 보면 동북민족 중 고구려만이 유일하게 경제적으로 빈곤하다는 기록이 나온다. 여성의 출산력과 노동력이 중시되는 농업경제의 빈곤한 가정은 신부값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남성이 노동을 처갓집에 제공하고 여성을 확보할 수밖에 없었다. 셋째, 노동을 하지 않는 귀족층의 비대화로 인한 사회구조의 모순은 농민경제를 더욱 열악하게 하는 원인이 되어 노동교환혼이 확고하게 자리 잡는데 원인을 제공하였다. 고구려 혼인습속에서 노동교환혼이 등장한 원인은 열악한 농업경제, 귀족층의 비대화로 인한 사회모순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동호계 민족과 사이에 나타나는 노동교환혼적 특징이 독자적 발명인지 교류에 의한 것인지는 좀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동호계와 고구려가 서로 영향을 주었다 하더라고 열악한 경제상황으로 인하여 고구려에서 노동교환혼적 특징이 더욱 공고화되고 전통으로 자리 잡은 것은 확실한 사실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목적
Ⅱ. 고구려 혼인 관련 고문헌 자료와 번역
Ⅲ. 문헌기록 자료를 활용한 고구려 혼인의 재구
Ⅳ. 고구려 혼인에서 노동교환혼이 등장한 원인
Ⅴ. 남은 문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인희 Kim, In-hee.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