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의 창작방법론 연구 — 제주도 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reative Methodology of Theme Park Storytelling — Focusing on Jeju Island Theme Park

최수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heme park is a distinct area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 However, key elements of storytelling such as theme, subject matter, symbols, double line and composition are utiliz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theme park is an area to which storytelling can be applied. Three ways of creating theme park storytelling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the scene-centered story composition signifies that whole place should be subdivided into several segments and then composed of scenes with mise-en-scene. In particula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storyline are important. The entrance separates visitors from their daily lives and serves to guide them to the world of theme parks. The exit serves to maintain the longevity of the presented story and lead to a return visit. Second, iteration of thrills and relaxation signifies that the operator of the theme park intentionally controls the speed of progress. Whereas thrills are mainly provided by attractions, rides, exhibits, and experiences in each compartment, relaxation is provided in a rest space provided between different compartments. Third, circulation system and visitor induction signified that theme park storytelling is conducted by the activities of visitors. For a pleasant viewing, a circulation system needs to be built in the flow. When control is prominent, visitors may feel a sense of antipathy; therefore images, symbols, and double lines are used typically. The above contents were applied to a theme park of Jeju Island and its feasibility in the real life setting was examined. First, the author checked the status of the Jeju Island theme park, and confirmed that it needed diversity and strengthened manage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mes reflecting the original value of Jeju should be utilized. To this end, the author examined the cultural value of Jeju in terms of nature, mythology, history, and life. Finally, the author analyzed the reality of storytelling in the island by selecting Ecoland theme park and Camellia Hill as good examples reflecting Jeju value. Ecoland theme park was relatively well divided into sections and scenes. By using the train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ey showed visitors’ activity by introducing a walk through experience. Visitors were also prompted to follow a story by repeating walking and moving. Camellia Hill has relatively loose division. They did not create a sense of tension by utilizing facilities, but instead installed a photo system and design accessories to build a circulation system. The storytelling realized through this scheme was slow but efficient. As we have seen so far, theme park storytelling has been applied to the cases of Jeju Island. The author expects realization of strong and original storytelling by expressing the cultural value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regions.

한국어

테마파크는 전통적인 문화예술과는 확연히 다른 분야다. 그러나 주제・제 재(題材)・상징・복선・구성 등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테마파크도 역시 스토리텔링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라고 판단된다. 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의 창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도출되었다. 첫째, 장면 중심 이야기 구성. 전체 장소를 몇 가지 구획으로 세분화한 뒤, 미장센을 갖춘 장면으로 구성해야 한다. 여러 구획 중에서도 특히 입구와 출구가 중요하다. 입구는 방문객들을 일상에서 분리시켜 테마파크의 세계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출구는 여운을 유지시켜 재방문을 유도하는 역할 을 한다. 둘째, 긴장과 이완의 반복. 테마파크의 운영자는 의도적으로 진행 속도를 조절한다. 긴장은 주로 각 구획에 마련된 어트랙션・라이드・전시・ 체험 등을 통해 제공된다. 이완은 구획과 구획 사이에 마련된 휴게 공간에 서 제공된다. 셋째, 동선과 방문객 유도. 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은 방문객의 활동에 의해 진행된다. 쾌적한 관람을 위해서는 동선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통제가 두드러지면 방문객들이 반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미지・상징・복 선 등을 활용한다. 이상의 내용을 제주도의 테마파크에 적용하여 실현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제주도 테마파크의 현황을 점검한 결과, 다양성 확보와 운영 관리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제주의 독창적 가치를 반영한 주 제를 활용해야 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를 위해 제주의 문화적 가치를 자연・신화・역사・생활의 측면에서 살폈다. 마지막으로 제주의 가치를 잘 적용한 사례로 에코랜드테마파크와 카멜리 아힐을 선정하여 스토리텔링의 실제를 분석했다. 에코랜드테마파크는 구획 구분과 장면화가 비교적 잘 이루어졌다. 기차를 이동수단으로 활용하고, 체 험활동으로 산책을 제시하여 활동성을 높였다. 또한 산책과 이동을 반복하 여 스토리텔링의 흐름을 만들었다. 카멜리아힐은 상대적으로 구획 구분이 느슨했다. 시설물을 활용해서 긴장감을 조성하지 않고, 포토존과 디자인 소 품을 배치하여 동선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구현되는 스토리텔링은 완만하 지만 효율성이 높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은 제주도의 사례들에도 무 리 없이 적용되었다. 오히려 여타 지역들과 변별되는 문화적 가치를 효과적 으로 표현하면, 강력하고도 독창적인 스토리텔링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테마파크 스토리텔링 적용 가능성
1) 테마파크와 스토리텔링
2) 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의 고려 요소
3) 테마파크 스토리텔링의 창작방법
3. 제주도의 문화 가치와 테마파크 사례 분석
1) 제주도 테마파크의 현황과 평가
2) 제주도의 문화 가치
3) 테마파크 스토리텔링 사례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수웅 Choi Soowung. 단국대학교 문예창작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