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d on negation of ability in Seokdok Kugyol.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不} and word order in long form negative sentences are focused.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s follows. 1) {不} is a negative of ability, representing the form mot. 2) {不} is diffrent in form from ‘不’, which is a negative of ability only in Yuqieshidilun(瑜伽師地論) Seokdok Kugyol. 3) {不} and 不 represent the same form. They are represented as the same Kugyol-point in Huayanjing(華嚴經) Seokdok Kugyol. 4) ‘Verb- 不 能 -’ is a long form negative sentence in Huayanjing(華嚴經) Seokdok Kugyol, which has word order like ‘negative adverb verb’. ‘Verb- 能 不 -’ is a long form negative sentence in Yuqieshidilun(瑜伽師地論) Seokdok Kugyol, which has word order like ‘adverb negative verb’. It is because word order like ‘negative adverb verb’ does not be allowed in Yuqieshidilun(瑜伽師地論) Seokdok Kugyol, contrary to Huayanjing(華嚴經) Seokdok Kugyol.
한국어
본고에서는 석독구결의 부정법과 관련하여 <자비도량참법>에 처음 등장한 ‘{不} ’의 기능과 독법을 토대로 능력부정의 부정사인 ‘不’․‘不’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장형 능력부정문의 어순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不}’는 능력부정의 부정사로서 [몯]이라는 어형을 나타낸다. 이때 구결자 ‘’는 [모]라는 음가를 지니며 말음 ‘ㄷ’은 해독시 보충된 것이다. 이는 ‘{爲}-’가 말음첨기 없이 [삼]을 나타낼 수 있는 것과 동궤의 현상이다. 둘째, <자비도량참법>은 <화엄경> 계통의 자토석독구결 자료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不}’은 <유가사지론> 계통에서만 등장하며 [ㄱ]을 말음으로 갖는 ‘不’ 과는 다른 형태의 부정사일 것이다. 셋째, <화엄경> 계통의 자토석독구결에서만 쓰이는 ‘不’는 ‘{不}’와 동일한 어형의 부정사를 표기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 둘이 다른 어형의 부정사를 표기한 것이라면 점토석독구결에서도 별개의 구결점으로 표기될 것이다. 하지만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는 능력부정의 부정사를 나타내기 위해 22(-)만이 쓰인다. 넷째, <화엄경> 계통의 장형 능력부정문인 ‘(피부정)동사- 不 能 -’는 부정사가 부사어 ‘能’ 앞에 오는 구성이며, <유가사지론> 계통의 장형 능력부정 문인 ‘(피부정)동사- 能 不 -’는 부정사가 부사어 ‘能’와 대동사 ‘-’ 사이 에 개재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자료의 계통에 따라 어순에 차이가 나는 것은 ‘부정사 부사어 (피부정)동사’의 어순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화엄경> 계통과는 달리 <유가사 지론> 계통에서는 ‘부정사 부사어 (피부정)동사’의 어순을 기피한 데에서 말미암은 것일 가능성이 있다.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의 검토
3. 석독구결 부정사 ‘不’의 특징
4. 석독구결에 쓰인 장형 능력부정 구문의 어순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