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牛头宗东传朝鲜半岛史实考辨

원문정보

A Study on Introducing of the Niutou School into the Korean Peninsula

우두종동전조선반도사실고변

감심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riginated from Mt. Niutou, the Niutou School gradually developed to its culmination during the following one hundred years. Its influence was so great that once was comparable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of Chan from the mid eigh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ninth century. The Niutou School was introduced into Japan also around this period. However, the academic circles haven’t reached a consensus about whether the Niutou School was brought into the Korean Peninsula,which lead t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the author introduces the arguments around Sunŭnghwasangchʼan(順應和尚讚) of Chʼoechʼiwŏn(崔致遠). Secondly,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elief of Mt. Niutou and both the Huayan School of Chinese Buddhism and Avataṃsaka Sutra. Thirdly, the author presents his new interpretations to Sunŭng hwasang chʼan under the background narrated above and provides other proofs in Shillagayasanhaeinsasŏnanjuwŏnbyŏkki(新羅伽倻山海印寺善安住院璧記) to the argument that the Niutou School has indeed been brought into the Korean Peninsula.

한국어

본 논문은 우두종의 한반도 전래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최치원의 「순응화상전(順應和尚讃)」 중 “우두수겁 상망탐현(牛頭垂袷,象罔撢玄)” 부분에서 ‘우두’가 중국 「강남의 우두산인지, 혹은 한국의 가야산[별명 우두산]인지에 대한 문제는 학계의 쟁점 사항이었다. 이 부분에서는 그 쟁론 내용을 소개하였다. 둘째, 강남 우두산이 『화엄경』 및 중국 화엄종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화엄경』에 기록된 수많은 보살의 거처 중 한 곳이 우두산이다. 『화엄경』 중의 우두산은 우전(于闐)의 우두산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화엄종 조사 법장은『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에서 강남의 우두산을 『화엄경』에 있는 보살의 거처인 우두산으로 보고 논증하였다. 이상의 관계를 바탕으로 셋째, 「순응화상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근거를 제시해 우두종의 한반도 전래를 입증하였다. 순응이 강남 우두산으로 가게 된 계기에는 『화엄경탐현기』의 영향이 있다고 보인다. 최치원의 「순응화상찬」 문구의 대장(對仗)에서 보면 “우두수겁” 중의 ‘우두’는 우두산에 거주하고 있는 보살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상망탐현”에서 밝힌 ‘무심득도(無心得道)’의 사상은 우두종의 핵심 관점인 ‘무심합도(無心合道)’의 전통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최치원의 「신라가야산해인사선안주원벽기(新羅伽倻山海印寺善安住院璧記)」 중에서 “문노담(問老聃)”과 “심주산(尋住山)”이라는 문장이 있는데, ‘노담’은 노장과 현학에 가까운 우두종의 선법을 가리키며, ‘주산’은 보살이 거주하고 있는 우두산을 가리킨다.

목차

국문 초록
一. 序論
二. 圍繞崔致遠《順應和尙讚》的爭論
三. 牛頭山信仰与《華嚴經》, 中國華嚴宗
(一)《華嚴經》中的牛頭山和于闐的牛頭山
(二)中國江南的牛頭山
(三)法藏將江南牛頭山視爲《華嚴經》中的牛頭山
(四)崔致遠時代的牛頭山信仰
四. 順應曾赴江南牛頭山的証据
(一)受《探玄記》影響
(二)從《順應和尙讚》的工整對仗中可知 “牛頭” 指牛頭山的菩薩
(三)“象罔撢玄” 是對牛頭禪 “无心合道” 思想的描述
(四)崔致遠《新羅迦耶山海印寺善安住院壁記》中的証据
五. 結語:東亞佛敎中的牛頭宗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감심흠 Gan Qinxin.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융합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