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mparative Study o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Vowels by Migrant Females and the Children : Focusing on Japanese and Vietnamese.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인 여성,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 세 집단을 비교하여 한국어 모음의 음향학적인 특징을 분석하 고자 한다. 모음의 음향학적인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모음의 고유기 저주파수와 포먼트를 분석하고, 모음을 원순성과 전설·후설성으로 더 욱 세분화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세 집단의 Formant zone과 모 음 공간 비교를 통해서 한국인 여성,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의 모음 산출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한국 여성 9명, 결혼이주여성 16명(일본 결혼이주여성 9명, 베트남 결 혼이주여성 7명)과 그 자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어 8개 단 모음 /a/, /i/, /u/, /e/, /ɛ/, /o/, /ɔ/, /ɯ/는 Multi-speech를 사용하여 고유기저주파수를 측정하고 F1, F2, F3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포먼트 값을 이용하여 모음의 원순성과 모음의 전설·후설성을 비교 분석하 였다. 측정된 모음의 제 1, 2포먼트를 이용하여 Formant zone과 모음 팔각도를 도출하여 모음 공간을 비교하였다. 포먼트 값은 한국 여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베트남 결혼 이주여성,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일본 결혼이주여성, 일본 결 혼이주여성의 자녀 순서였다. 모음의 원순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일 본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는 공통 적으로 모음 /u/, /o/, /ɯ/에서 한국 여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는 모음 /i/를 제외하고 모든 모음에 서 한국 여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ormant zone에서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가 일본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보다 모든 모음에서 넓게 자리 잡고 있었으며, 일본 결혼이주여성과 자녀는 모 음 /ɯ/와 /u/에서,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는 모음 /ɔ/와 /ɯ/, /o/와 /u/에서 중첩되어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모음 /e/와 /ɛ/의 변별 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모음 공간 비교에서 일본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는 대체적으로 한 국 여성과 비슷한 모음 공간을 가졌고, 결혼이주여성의 국적과 상관 없이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는 한국 여성보다 작은 모음 공간을 가 지고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Ⅲ. 결과
3.1 고유기저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F0)
3.2 모음의 음향학적 분석
3.3 모음도 비교
3.4 모음 공간 비교
Ⅳ. 총괄 및 고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