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Korean Speech characteristics and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 Focused on Japanese Marriage Immigrant Females
초록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 거주 기간 10년 이상의 일본 이주여 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산출하는 한국어 말소리의 특징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해 보고 이를 한국인 여성과 비교ㆍ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음 /a/, /i/, /u/, /e/, /ɛ/, /o/, /ɔ/, /ɯ/를 연장발화하게 한 후 각 모음의 포먼트를 Multi-Speech 프 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하고, 측정된 모음 중 /a/, /i/, /u/를 이용하여 모음공간면적 을 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자음 산출 시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U-TAP을 사 용하여 단어 수준과 문장수준에서 자음정확도와 모음정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연 구에 참여한 일본인 결혼 이주여성은 모두 8명이었으며, 한국 거주기간은 평균 16.25(±4.37)년, 나이는 49.13(±5.3)세였다.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이 2명 이었고 나머지는 고등학교 졸업의 학력 수준을 나타냈다. 한국어 모음의 제1포먼트 와 제2포먼트의 평균은 각각 다음과 같다. /a/(947.75±99.4/ 1463.63±103.63), /i/(346.38±30.06/ 2689.8±298.16), /u/(368.25±32.63/ 1355.25±271.04), /e/(523.88±41.91/ 2334.38±157.97), /ɛ/(522.5±42.65/ 2383.5±174.19), /o/(459.75±38.67/ 866.25±74.34), /ɔ/(599.13±103.55/ 1045.75±113.99), /ɯ/(386.38±43.65/ 1269.75±198.63) 모음 /a/, /i/, /u/를 사용하여 구한 모음공간면적 의 평균은 428483(±139050.1)이었으며 낱말 수준에서 자음 및 모음정확도의 평균은 88.08(±6.63)%, 96.25(±5.18)%로 나타났다. 문장 수준에서는 자음정확도의 경우 89.82(±8.7)%, 모음정확도는 96.25(±5.18)%였다. 자음 정확도에 부적 영향을 끼친 주 조음 오류는 종성에서의 대치와 경음의 격음화 현상이었다.
목차
I. 서론
1.1. 연구목적 및 필요성
II.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및 목적
2.3. 통계처리
III. 연구 결과
3.1. 일본 이주여성의 단모음 특징
3.2. 자음과 모음의 정확도 및 조음 오류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