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부 논문 및 주제발표

무의미수화 따라하기에 나타난 농 아동의 수화소 특성

원문정보

The Cheremes Characteristics of Deaf Children in Nonsign Repetition

유지숙, 김화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sidered cheremes(handshape and movement)acquisition using the nonsign repetition task for 8 Deaf Children at aged 6-11. Hearing loss degree of participants was upper than 90dB HL. The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was assessed by vocabulary test with sign which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complimenting receptive vocabulary test of REVT.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ign repetition ability and vocabulary ability of sign language using performance score of each test. The central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complex the level of phonetic complexity of handshape and movement, the deaf children's repetition accuracy has been lowered. 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performance score between level 1 and level 4 and between level 2 and level 4(p<.01, p<.05). Second, Analysis of the results of cheremes repeti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chereme's type, performance scor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handshape and internal movement and between path movement and internal movement(p<.05, p<.01). In other words, The more complex cheremes(handshape and movement), deaf children had difficulties in acquiring signs and when children's cheremes acquisition, they have many difficulties in internal movement acquisition. Third, deaf children's performance ability of nonsign repetition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bility to understand the vocabulary of sign language(p<.05). It show that nonsign repetition skills is associated with the ability of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that this two abilities could be factors which predict to each other.

한국어

본 연구는 좋은 쪽 귀의 청력이 90dB HL 이상인 6~10세의 수화를 사용하는 농 아동 8명을 대상으로 하여 무의미수화 따라하기 과제를 적용함으로써 수화소(수동, 수형)의 습득을 알아보았다. 또한 REVT 의 수용어휘력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수어어휘 이해능력을 측정하고 무의미수화 따라하기 수행 능력 과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먼저 농 아동들은 수화에 포함된 수형과 수동이 음성적으로 복잡할수록 따라하기 정확성이 낮아졌다. 특히, 수준1-수준4, 수준2-수준4 간의 수행점수 차이가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p<.01, p<.05). 둘째, 수화소의 유형에 따른 수화소 따라하기 수행을 분석한 결과, 수형-내부적수동, 경로수동-내부적수동 간에 따라하기의 수행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5, p<.01). 즉, 농 아동들은 수화소(수형, 수동)가 복잡해질수록 습득에 어려움을 보이며, 수화소를 습득할 시, 내부적수동을 습득하는 데에서 많은 어려움을 가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무의 미수화 따라하기 수행능력과 수어어휘 이해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 하였다(p<.05). 이는 무의미수화 따라하기 수행 능력이 어휘 이해 능력과 연결되며, 어휘 이해 능력과 무의미수화 따라하기 수행 능력이 서로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및 절차
3. 자료 분석 및 통계 처리
Ⅲ. 연구 결과
1. 음성적 복잡성 수준에 따른 농 아동들의 무의미수화 따라하기 수행
2. 수화소의 유형에 따른 수화소 따라하기 수행
3. 무의미수화 따라하기 수행 능력과 수어 어휘 능력 간의 상관
Ⅳ. 결론 및 논의
1. 음성적 복잡성 수준에 따른 무의미수화 따라하기 수행
2. 수화소의 유형에 따른 수화소 따라하기 수행
3. 무의미수화 따라하기 수행 능력과 수어어휘 이해능력 간의 상관
4.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지숙 Ji Suk Yu.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김화수 Wha Soo Kim.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