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반도 경계와 접경지역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 접근의 함의

원문정보

A Post-Territorialist View to the Boundary and Border in the Korean Peninsula

지상현, 이승욱, 박배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US-North Korea talks are stalled after the Hanoi Summit in February 2019, we are recently witnessing the easing of tension and opposition i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promotion of peace and cooperation through inter- Korean and U.S.-North Korea meetings leads to a heightened expectation for changes in the border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frontline of conflict. While the border between the two Korean still serves as a barrier to interrupt free movement and cooperation, the recent literature stresses border and boundary as a place where various spatialities contest one another beyond a fixed view on territoriality. This so-called post-territorialist view has built on a new epistemology to note the complexity and multilayeredness of territory as well as the porosity of border. Existing border policies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considered as an attempt to ‘defer’ the modern territoriality to a limited extent under the goal of national unification. The recent geopolitical shif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sequent border policies demonstrate a momentous attempt to overcome this modern territoriality. Nevertheless, to go beyond the geopolitical condition structured by national security and territorial logics cannot be realized at the local scale through border policies, but it should be approached in the context of geopolitical debordering at the multiple scal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한국어

2019년 2월의 베트남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북미 간 대화가 소강상태에 빠졌지만,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최근 들어 한반도를 둘러싼 갈등과 대립이 조금 이나마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한 남북 대화와 북미 대화의 지속으로 인한 평화와 협력의 분위기가 대립과 갈등의 최전선인 한반도의 접경지역에 대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한반도의 경계가 이동과 협력 을 가로막는 장벽으로 남아 있지만, 최근의 경계와 접경지역에 대한 연구의 흐름 은 경계가 만들어내는 영토적 측면을 넘어 다양한 공간성이 경합되는 장소로 바 라보고 있다. 이러한 포스트 영토주의적 접근은 영토의 복합성과 다층성, 그리고 경계의 ‘다공성(porosity)’을 강조하는 인식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동안의 한반 도의 접경지역 정책은 통일이라는 목표를 위해 제한된 범위 내에서 근대적 영토 성을 제한적으로 ‘유보’하는 시도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책은 영토성과 안보의 관계를 설정하는 정치적 시각에 의해 변화되어왔다. 최근 한반도에서 일 어나고 있는 평화와 협력의 분위기와 이에 따른 접경지역 정책은 이러한 근대적 영토성을 넘어서려는 본격적인 시도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안보와 영토 성이 결합되어온 지정학적 현실을 넘어서는 일은 접경지역 정책이라는 로컬 스케 일에서 온전히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며, 한반도를 둘러싼 다층적인 스케일 에서 일어나는 지정학적 탈경계화의 맥락에서 해결되어야 할 사안이 된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며
2. 접경지역, 경계, 변경 관련 연구 동향의 시사점
1) 용어의 정의와 이의 시사점
2) 국경의 설치와 통제의 과정
3) 경계에 관한 포스트 영토주의적 접근
3. 접경지역 관련 통일정책에 드러난 영토성에 대한 비판적고찰
1) 다양한 경계의 존재
2) 통일정책과 접경지역
4.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지상현 Chi, Sang-Hyun.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부교수
  • 이승욱 Lee, Seung-Ook.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부 조교수
  • 박배균 Park, Bae-Gyoon.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