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효창공원의 역사적 중층성과 상징성을 이용한 스토리텔링

원문정보

Storytelling using Hyochang Park's historical middle layer and symbolism

강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yochang Park was the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where were the tombs of Prince Munhyo and his birth mother Ui-bin Seong, king Soonjo’s concubine Sook-Ui Park and Youngon princess by a concubine. It was upgraded from Hyochang tomb to Hyochangwon at King Gojong. The Japanese imperialism destroyed Hyochangwon and made it into a park, also moved to Seosamneung in 1944. After returning from Chongqing after liberation, Kimgu made the independence movement tomb in the empty space of Hyochang Park. There were 3 martyr’s tomb, provisional government figure tomb. Kimgu himself was buried in Hyochang Park after his death in 1949. During the regime of Rhee Seung-man and Park Jeong-hee, there was a constant attempt to change the identity of Hyochang Park, where independence activists were buried. Hyochang Stadium, Wonhyo buddhist priest's Statue and North Korean Anti-Communist Tower were established.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the independence activist tomb of Hyochang Park began to gain meaning again. The 6th Republic succeed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e Constitution, also the national cemetery and independent park of Hyochang Park were attempted but the social consensus could not be achieved. This study focuses on the historical middle layer and symbolism of Hyochang Park and aims to contribute to social consensus on the identity of Hyochang Park by making a storytelling on the theme of 'Independence Road'.

한국어

효창공원은 조선시대 문효 세자와 생모 의빈 성씨, 순조의 후궁 숙의 박씨와 영온 옹주의 묘가 있었던 왕실 묘 역이었다. 고종대에 효창묘에서 효창원으로 격상되었다. 일제는 왕실묘역이었던 효창원을 훼손하여 공원으로 만들었 으며, 1944년에는 효창원의 왕실묘역을 서삼릉으로 이장하였다. 해방 후 중경에서 돌아온 김구는 효창공원의 비어있 던 공간에 독립운동자 묘역을 조성하였다. 삼의사묘, 임시정부 요인 묘가 그것이다. 김구 자신도 1949년 서거 후 효창 공원에 묻혔다. 이승만 정권, 박정희 정권시기에는 독립운동가들이 묻혀있는 효창공원에 대한 정체성 변화시도가 끊 이지 않아 효창운동장, 원효대사 동상, 북한반공투사위령탑 등이 세워졌다. 1987년 민주화 이후 효창공원의 독립운동 가 묘역은 다시 의미를 부여받기 시작했다. 6공화국 헌법에서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였으며, 이후 효창공원에 대 한 국립묘지화와 독립공원화가 시도되었지만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내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효창공원의 역사적 중층성과 상징성에 주목하여 ‘독립의 길’이라는 주제로 스토리텔링을 하여 그 의미를 부각시키고, 효창공원의 정체성 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나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효창공원의 역사와 정체성의 변화
1. 효창묘에서 효창공원으로의 변화
2. 효창공원을 둘러싼 중층적 정체성과 성역화시도
Ⅲ. 효창공원의 정체성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1. 효창 ‘독립의 길’ 스토리텔링
2. 효창 ‘독립’축제 스토리텔링
3. 효창공원 경관 스토리텔링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강혜경 Hyekyung Kang. 정회원,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