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totype for dance classes with problem-based learning (PBL).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ction research through PBL classes in the Department of Dance at S University over a total of four semesters in 2017 and 2018. The prototype of 'design-implementation-assessment', for PBL dance classes is as follows. Firstly, at the design stage, PBL dance classes deals with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PBL in classes, experience and value-oriented learning is designed. This stage also develop good problems and check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mposition of group. Secondly, at the implementation stage, to derive learning content for problem solving the process of ‘idea-facts-learning issue-action plan’ is carried out. In the assessment stage, process i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content, timing and method of assessment, role sharing of members, activ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and appropriate method of activity process. Lastly, the assessment of results, including practicality, creativity and logic, and PBL reflection is performed
한국어
이 연구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대학 무용학과의 '변혁적 교육(Transformative Education)'의 대안으로 문제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무용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교수과정에서 요구되는 프로토타입 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2018년 S대학교 무용학과의 PBL 강좌에서 연구자 3 인의 교수경험과 성찰을 바탕으로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진행하였다. PBL 무용수업을 위한 설계, 실행, 평가의 단계별 프로토타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단계에서는 PBL 수업적합성을 판단하고, 무용분야 직무 와 연계된 교육목표와 내용을 기반으로 자기주도성, 경험과 가치 중심의 학습을 설계한다. 비구조화, 실제성, 관련성, 복잡성이 반영된 ‘좋은 문제’를 개발하고, 교육환경 및 모둠편성을 점검한다. 둘째, 실행단계에서는 문 제해결을 위한 학습내용 도출을 위하여 ‘생각-사실-학습과제-실천계획’의 과정을 거치며 PBL 촉진을 위한 튜터 링, 협동학습의 역동성,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다. 셋째, 평가 단계에서는 평가주체, 내용, 시기, 방법을 고려하 고 구성원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구성원의 역할분담, 협동학습의 활성화, 활동 과정의 적절한 방법에 관한 과정 평가가 수행된다. 마지막으로는 실천가능성, 창의성과 논리, PBL 성찰 등의 결과평가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 연 구는 대학 무용학과의 커리큘럼에서 PBL 방식이 단지 안무창작과 공연제작 실습을 위한 프로젝트로 활용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용분야의 다양한 현장직무와 관련하여 보다 실천적이고 개방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도록 이끌어내는 교수-학습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PBL 무용수업을 위한 프로토타입
1. PBL 무용수업을 위한 준비 단계
2. PBL 무용수업의 실행 단계
3. PBL 무용수업의 평가 단계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고현정. (2017). 무용의 앎의 적용 공간 고찰-영국대학무용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8(4), 21-40.
- 2문제중심학습에서 평가주체에 따른 비교: 튜터평가, 동료평가, 자가평가를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3김은혜, 남진희, 박재근. (2018). 무용전공자를 위한 고등교육 진로개입 실태분석. Offici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35(3), 95-108.
- 4김정환.(2017). 인공지능 시대에 잘 사는 법. 지역내일 https://www.localnaeil.com/News/View/629040 (2017.3.7일자 지역내일 기사)
- 5김지영(2017). 무용콘텐츠 개발을 위한 PBL과 캡스톤 디자인. 2017 한국무용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 6김지영, 박인실, 임수진. (2017). 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발역량 검사지 개발 및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6(2), 461-475.
- 7김지영, 임수진, 김형남. (2016). AHP 분석을 활용한 무용진로개입의 체계적 접근 방안. 한국체육학회지, 55(6), 661-676.
- 8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Level with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the Maternal-Child Clinical Practice -네이버 원문 이동
- 9윤종혁, 김은영, 최수진, 김경자, 황규호 (2016). OECD 교육 2030: 미래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 10이근호, 이미경, 서지영, 변희현, 김기철, 유창완, 이주연, 김종윤, 윤기준. (2017).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조사에 따른 역량중심 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