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제중심학습(PBL)의 무용수업을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 : 미래사회 대비 대학무용의 변혁적 교육

원문정보

Development of Prototype for Problem-based Learning in Dance Class : Transformative Dance Education in University for Future Society

김지영, 김은혜, 홍애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totype for dance classes with problem-based learning (PBL).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ction research through PBL classes in the Department of Dance at S University over a total of four semesters in 2017 and 2018. The prototype of 'design-implementation-assessment', for PBL dance classes is as follows. Firstly, at the design stage, PBL dance classes deals with determining the suitability of PBL in classes, experience and value-oriented learning is designed. This stage also develop good problems and check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mposition of group. Secondly, at the implementation stage, to derive learning content for problem solving the process of ‘idea-facts-learning issue-action plan’ is carried out. In the assessment stage, process is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content, timing and method of assessment, role sharing of members, activ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and appropriate method of activity process. Lastly, the assessment of results, including practicality, creativity and logic, and PBL reflection is performed

한국어

이 연구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대학 무용학과의 '변혁적 교육(Transformative Education)'의 대안으로 문제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무용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제 교수과정에서 요구되는 프로토타입 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2018년 S대학교 무용학과의 PBL 강좌에서 연구자 3 인의 교수경험과 성찰을 바탕으로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진행하였다. PBL 무용수업을 위한 설계, 실행, 평가의 단계별 프로토타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계 단계에서는 PBL 수업적합성을 판단하고, 무용분야 직무 와 연계된 교육목표와 내용을 기반으로 자기주도성, 경험과 가치 중심의 학습을 설계한다. 비구조화, 실제성, 관련성, 복잡성이 반영된 ‘좋은 문제’를 개발하고, 교육환경 및 모둠편성을 점검한다. 둘째, 실행단계에서는 문 제해결을 위한 학습내용 도출을 위하여 ‘생각-사실-학습과제-실천계획’의 과정을 거치며 PBL 촉진을 위한 튜터 링, 협동학습의 역동성,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다. 셋째, 평가 단계에서는 평가주체, 내용, 시기, 방법을 고려하 고 구성원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구성원의 역할분담, 협동학습의 활성화, 활동 과정의 적절한 방법에 관한 과정 평가가 수행된다. 마지막으로는 실천가능성, 창의성과 논리, PBL 성찰 등의 결과평가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 연 구는 대학 무용학과의 커리큘럼에서 PBL 방식이 단지 안무창작과 공연제작 실습을 위한 프로젝트로 활용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용분야의 다양한 현장직무와 관련하여 보다 실천적이고 개방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도록 이끌어내는 교수-학습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PBL 무용수업을 위한 프로토타입
1. PBL 무용수업을 위한 준비 단계
2. PBL 무용수업의 실행 단계
3. PBL 무용수업의 평가 단계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지영 Kim, Ji-Young. 상명대학교
  • 김은혜 Kim, Eun-Hye. 상명대학교
  • 홍애령 Hong, Ae-Ryoung. 상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