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융합 의과학

간호대학생 고학년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

원문정보

Ego 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 Seeking Str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채명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ego 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o 175 nursing students 3rd and 4th grad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grad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on university life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seeking stress.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13.5% of job-seeking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job-seeking str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through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which strengthen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onsidering grade, satisfaction on university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고학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 행되었다. 간호대학생 3, 4학년 175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에 따라, 취업스트레스는 학년,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학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대학생활 만족도로 나타났고, 설 명력은 13.5%였다. 그러므로 학년, 대학생활 만족도룰 고려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키는 융복합적인 중재를 통해 간호대학생 고학년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윤리적 고려
2.6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 수준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
3.4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의 상관관계
3.5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채명옥 Myung-Ock Chae.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