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고등학생의 한국무용 인식과 교육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Korean Dance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s

송미숙, 강기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quiry degree of awareness of Korean da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participation in Korean dance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now a little about Korean dance and the degree of interest of participation when they develop education programs was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It is very important to physically grow and mentall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one's self through education in a period of adolescence, when physical and mental growth are important. Korean dance education is useful for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because it expresses inner self as a physical activity. The survey found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 and that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to have access to Korean dance through performances or through communication media. Although we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ga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is narrow, we should focus on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and restoring the ratio of positive results to high rates of positive ones, by enhancing the opportuniti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watch Korean dance.

한국어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한국무용에 관한 인식 정도와 한국무용 교육프로그램의 참여에 관한 연구로서 중고등학생들이 한국무용에 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며 또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을 때 참여의 관심 정도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세계화로 인하여 많은 해외의 문화들이 들어오면서 점차 한국 고유의 문화들은 잊히거나 변질되었다. 현재는 한국무용보다 비보잉, 발레, 아이돌 춤이 더 인기를 얻고 관심을 받고 있다. 미래를 이어나갈 청소년기의 인재들에게 한국 고유의 문화를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신체적, 정신적 성장이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 시기에 교육을 통하여 신체적으로 성장하고 정신적으로는 자아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무용교육은 내면을 신체적 활동으로 표현하므로 정신적, 신체적 발달에 유용하다. 설문조사 결과 중고등학생들의 한국무용에 관한 이해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공연 관람을 통하여 또는 통신매체를 통하여서도 한국무용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중고등학생들에게 한국무용 관람의 기회를 높여주어 한국무용을 친숙하게 하고 교육프로그램 참여도에 관하여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의 격차가 좁다는 결론을 얻었으나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결과의 비율이 높게 나올 수 있도록 회복시키는 것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송미숙 Song, Mi-Sook. 진주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 강기쁨 Kang, Kee-Ppeum. 진주교육대학교 문화예술교육전공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