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reformation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produce professional engineers that conform to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research were conduct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in Korea and abroad,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ystem of professional engineers in selected advanced countries, visiting and meetings with officials in advanced countries to benchmark their best practices, meetings with stakeholders and technical experts, and through the consultation meetings with experts. First,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evaluation system in the U.S., Canada, Australia and Japan were reviewed and compared. This includes the standard for engineering disciplines, linkage with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testing methods and management, and consequently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for benchmarking were derived. Second, instead of the consolidation of all the existing professional engineering disciplines, a sustainable system of the professional engineer discipline system was developed which conforms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ould strengthen professional engine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utonomous governance and the principles of flexible supply and demand balance. Third, the professional engineer disciplines should be revis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field. The proposed revision includes revising them according to 1) APEC technical field, 2)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nd 3) systematization of new and reorganized items according to technical field or engineering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Fourth, the proposed alternatives for the testing methods includes 1) a common basic subject and a major basic subject test; 2) a technical aptitude test; and 3) a measure which strengthen the first phase of the existing written test, to include common basic and basic practical subject test. The proposed ways to utilize these alternatives are 1) using these alternatives on a separate track for those who has obtained accredited engineering education qualification, and 2) utilizing it as part of the current professional engineer written test. Fifth, the improvement in the current standards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of professional engineers, testing methods (application form and supporting document, written and interview test), and evaluation management were propos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기술사를 배출하기 위해 기술사 평가제도의 혁신 방안을 제시 하는데 있었다. 주요 연구 방법은 국내외 관련 문헌 고찰, 주요 선진국의 기술사 평가제도 비교 분석, 선진국 벤치마킹 방문 및 관계자 면담, 이해당사자 및 기술사 면담,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해서 이루 어졌다. 첫째, 미국, 캐나다, 호주 및 일본의 기술사 평가제도를 종목체계 기준, 공학교육인증제와의 연 계, 검정 방법 및 관리 차원에서 고찰 및 비교하였고, 결과적으로 우리나라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차이 점과 시사점이 확인되었다. 둘째, 현행 기술사 종목의 통폐합보다는 산업 및 기술 변화에도 지속 가능한 종목체계가 운영되고 국제적 통용성, 기술사 전문성, 자율적 거버넌스, 유연한 수급균형의 원칙이 더 강 화되도록 ‘지속가능한 기술사 종목체계 모형’이 개발되었다. 셋째, 기술사 종목체계 개편안은 기술분야에 따라 추진되어야 하는데, 개편안은 1)APEC의 기술 분야, 2)공학교육인증제, 그리고 3)신설 및 개편하 는 종목만 기술분야 혹은 공학교육인증제에 따라 체계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넷째, 기본시험 방안으 로 1)공통기본 과목과 전공기초 과목 시험, 2)기술사자격적성시험, 3)현행 1교시 필기시험을 공통기본 및 기본실무 과목 시험으로 강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었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1)공학교육인증 이수자 별도 검정 트랙에서의 활용 2)현행 기술사 필기시험의 부분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넷째, 현행 기술사 자격검정 기준, 자격 검정 방법(응시원서 및 증빙서류, 필기 및 면접시험) 및 검정관리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절차 및 방법
Ⅱ. 기술사 제도 및 관련 동향 고찰
1. 현행 기술사 제도의 발전
2. 기술사 배출과 인력수급
3. 기술사 제도 관련 선행연구
4. 기술사 제도와 공학교육인증제의 관계
5. 국제기술사 제도의 동향
Ⅲ. 주요 선진국의 기술사 평가제도 비교 및 시사점
Ⅳ. 지속가능한 기술사 종목 체계 모형과 개편 방안
1. 기술사 종목 체계 개편 시 고려사항
2. 지속가능한 기술사 종목 체계 모형과 원칙
3. 기술사 종목 체계화 방안
Ⅴ. 기술사 평가제도의 혁신과 공학교육인증제의 연계 방안
1. 기술사 평가제도의 혁신 방향과 내용
2. 공학교육인증제와의 연계방안
3. 기술사 자격의 기본시험 방안
Ⅵ. 현행 기술사 자격검정 개선 및 중장기 발전 방안
1. 검정 기준 개선
2. 검정방법 개선
3. 검정관리 개선
4. 중장기 발전 방안
Ⅶ.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