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ve efficiency about 18 department of A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For this purpose, referencing the preceding research about the relative efficiency of management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e and department, and set up the input variables following 4 items. They are college faculties per 100 students in one department, college faculty ratio getting a doctor degree in the department, department’s operating cost per a student and practice expenses per a student. It’s set up the output variables following 2 items. They are employment rate of the student and average of the satisfaction score about the department.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A college’s internal data in 2016, and analyzed by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is followings. First, 10 departments of 18 departments(55.5%) was reached 1.00 of the relative efficiency rate in CRS(Constant Returns to Scale) model, and 11 departments(61.1%) was reached in VRS(Variable Returns to Scale) model. Second, the output of above two models showed small standard deviation of the relative efficiency rate, and especially standard deviation of VRS model was smaller. Third, in analyzing the causes of inefficient department, one cause was occurred by technical dimension in 6 departments and another was occurred by dimension of scale in 2 departm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A 전문대학의 18개 학과 운영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 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고등교육기관 및 학과 운영의 상대적 효율성을 파악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학과의 학생 100명당 교원수, 학과 내 박사학위 소지 교원 비율, 학과의 학생1인당 학과운영비, 학과의 학생1인당 실습비를 투입변인으로 설정하였고, 학과 취업률, 학과만족도 평균 점수를 산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2016년 A 전문대학의 내부자료를 취합하여 활용하였으며,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방법으로 상대적 효 율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18개 학과 가운데 규모수익불변(CRS)모형의 경우 1.00의 상대적 효율치를 달성한 학과는 10개 학과 (55.5%)로 나타났으며, 규모수익가변(VRS)모형인 경우 1.00의 상대적 효율치를 달성한 학 과는 11개 학과(61.1%)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모든 모형의 상대적 효율치의 표준편 차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수익가변모형의 표준편차가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효율적인 학과의 원인 분석에서 6개 학과가 비효율적인 것으로 파악 되었는데, 비효 율의 원인이 기술적 차원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개 학과의 경우 규모 차원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전문대학 운영의 특징
2. 전문대학 학과 운영의 특징
3. 상대적 효율성 측정 및 DEA 기법의 특징
4. 관련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1. 분석 모형 설정
2. 변인 설정
3. 분석대상 학과의 특징
4. 분석 및 자료의 처리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분석 결과
2. DEA 분석 결과
3. 상대적 효율치 기준에 따른 학과별 개선사항 도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