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수역량 모델링에 관한 한국폴리텍대학의 사례연구(Ⅱ)

원문정보

A Case Study of Korea Polytechnics on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박봉순, 어수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ata analyses by competency group and detailed competency are as follows: step 1 is t-test; step 2, Borich’s needs analysis; step 3, The Locus for Focus model; last, the integration of Borich’s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Professors at Korea Polytechnics consider “preparation for class and its operation” was the most important, and “work ethics and communication” follows. In other words, they think it i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for professor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with work ethics and to prepare for the class throughly. In relation to the competency and performance of the professors at Korea Polytechnics, their capacity showed no correlation with the performance of the department they belong to. In the level of competency by career, the competencies of 10 to 20 year-career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mpetency by professor’s rank, the higher the rank, no the higher the level of competency overall. It is quite noticeable that the results of the work performance are not high when the distance between home and work places increases. Therefore, in case of employing or transferring new faculty members,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ir commuting distance. Sinc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depends on a professor’s teaching tasks and his/her competency, it is quite necessary to diagnose the competencies of professors and to develope teaching support programs accordingly. It also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evaluation, employment, and competency enhancement.

한국어

한국폴리텍대학 교원의 역량을 도출하고자 DACUM 직무분석을 통해 교원이 갖추어야 할 책무 와 과업을 도출하여 과업별 행동지표를 작성하고, 델파이 조사 및 초점집단회의를 걸쳐 총 10개의 책무와 39개의 과업, 161개의 행동지표를 최종 완성하였다. 이 자료를 기초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여 회수된 313명의 설문지 중에서 293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폴리텍대학 교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무엇인지와 t-검증,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 델을 활용하여 교육훈련 변화필요도 분석을 하였다. 교육요구도가 높은 공통된 우선순위는 전공역 량, 교육훈련과정개발로 나타났다. 직급별 역량수준의 차이분석에서는 부교수 및 교사직급의 역량 이 교수직급 역량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원의 직급이 높을수록 역량도 높은 것으로 나타 나지는 않았으며, 경력별 차이에서도 장기간의 교수 경력자가 역량수준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역량과 성과와의 관계는 ‘16년도 공개된 학과평가를 참고하여 설문자료를 대상으로 비교한 ANOVA분석에서 대․내외활동에서만 상위학과(95점 이상) 교원의 역량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 의미하게 높았지만, 개인의 성과점수가 아닌 학과성과 점수를 반영하여 분석한 결과로 한계점을 보였다. 그러나 모든 역량에서 교육요구도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교원들의 자기개발 필요 성에 대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수역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회 귀분석 결과 자동화계열은 기타 전공에 비해 성과가 높게(B=3.335) 나왔으며 대학 소재지와 거 주지가 동일한(B=3.031) 경우 불일치한 경우보다 학과성과가 정(+)적으로 높았다. 즉, 거주지와 근무지가 동일 지역이 아닐 경우 성과 결과가 높지 않다는 것은 시사점이 매우 크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방향
Ⅱ. 교수역량 모델 분석
1. 역량군별 변화 필요도 분석
2. 세부역량별 변화 필요도 분석
3. 역량군 및 세부역량별 교육요구도 종합
4. 특성에 따른 역량차이 분석
5. 역량과 변수와의 관계분석
Ⅲ.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봉순 Park, Bong Soon. 한국폴리텍대학
  • 어수봉 Uh, Soo Bo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