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디어 폭력성 수용 정도와 폭력 인식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원문정보

A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Acceptance and Violence Perception on Dating Violence in University Students

박점미, 신나연, 박효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dating violence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regression design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were 211 university students. Data analysis includ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dating violence were justification of violence and irrational belief of date violence.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approximately 24.7~33.0 % of dating violence. Conclusion: The findings recommend that nurses have to improve preventing dating violence of university students by considering violence percep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미디어 폭력성 매체 수용 정도, 미디어 폭력성 매체에 대한 현실감 지각과 폭력인식을 파악하고 데이트 폭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데이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 보았을 때, 성폭력 영역에서 폭력 정당화(β=.38, p<.001), 데이트 관계 신화(β=.17, p=.010) 이었으며, 성희롱 영역에서는 폭 력 정당화(β=.48, p<.001)이었다. 언어 폭력 영역에서는 폭력 정당화(β=.52, p<.001), 신체 폭력 영역에서는 폭력 정당화(β =.48, p<.001)이었으며 스토킹에서는 폭력 정당화(β=.38, p<.001), 데이트 관계 신화(β=.14, p=.024)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를 토대로 미디어 폭력성의 수용 정도와 매체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폭력 정당화의 정도를 낮추고, 데이트 관계 신화의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윤리적 고려
2.5 자료수집
2.6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미디어 폭력성 수용 정도, 폭력 인식과 데이트 폭력행동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디어 폭력성수용 정도, 폭력 인식과 데이트 폭력 행동
3.4 미디어 폭력성 수용 정도, 폭력인식과 데이트폭력행동간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데이트 폭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점미 Jummi Park.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신나연 Nayeon Shin. 분당차병원 간호국 수간호사
  • 박효선 Hyosun Park.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