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한중 문인 교류 연구의 흐름 - 교류 기반과 양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rends of Korea-China Relations and Literary Exchange Studies in the Late Joseon Period - Based on the exchange base and aspects -

김창수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55호 2019.03 pp.115-14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China Exchange In the entire history,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Qing is very special. The literary exchange of the two countries, which star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became more active in the 19th century. This was closer than that of Joseon-Ming relationship. Literary exchange was mediated through Chinese culture ability, and became a channel for the formation of a human exchange network, a space for academic discussion, and a gateway to knowledge media.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China has been intending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ing and neighboring countries as being dependent on it in pursuing the ‘Qing History Project.’ On this movement, knowledge exchanges in the late Joseon will play a role in revealing the mutually communicative history that is not unilateral or dependent.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studies related to the bases of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Qing. Only the envoys allowed by the state were allowed to move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diplomatic structure surrounding the dispatch of envoys functioned as a long – term basis of literary exchange. At the same time, the political situation of both countries and the changes in the diplomatic system have become factors that regulate the degree of exchange in the short term time. In the concrete aspect of exchanges, we first considered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exchanges. The bureaucrats, attendants, and interpreters were important subjects of literary exchange. The place of exchange wa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analysis. There were various interchange spaces inside and outside of Beijing. In the exchange method, I have summarized the studies related to meeting and correspondence.

한국어

조선·청 문인 교류는 한중 교류 전체 역사 속에서 매우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18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양국 지식의 교류는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더욱 확장되는 모습을 띠는데, 이는 명대의 그것보다 同文의 세계에 더욱 가까운 형태였다. 한문 능력을 매개로 이루어진 문인 교류는 인적 교류망의 형성, 학술토론의 공간, 지식 매체 왕래의 통로가 되었다. 한편 최근 중국에서는 ‘청사공정’을 추진하면서, 청과 주변국의 관계를 종속적인 것으로 규정하려는 의도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조선후기 문인 교류는 일방적·종속적이지 않은 상호 소통적 역사상을 드러내는 역할을 할 것이라 판단한다. 본고에서는 주로 2000년 이후에 생산된 연구들을 중심으로 조선·청 문인 교류 기반과 교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과 청의 국가 간 이동은 오직 양국에서 허락한 사신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따라서 사신 파견을 둘러싼 외교 구조의 형성과 작동방식은 문인 교류의 장기적 기반으로 기능하였다. 동시에 양국의 정치적 상황과 외교 제도의 변화는 단기적인 시간 속에서 교류의 정도를 규정하는 요소가 되었다. 교류의 구체적 양상에서는 우선 교류 주체의 계층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사신으로 대표되는 고관, 관직이 없는 수행관, 그리고 역관이 문인 교류의 중요한 주체였다. 교류의 장소도 또한 분석 범위에 넣었다. 크게는 북경과 북경 이외, 북경 내 다양한 교류 공간이 존재하였다. 교류방식의 부분에서는 직접 만나는 방식과 함께 서신 교류와 관련된 연구들도 정리의 대상으로 삼았다.

목차

I. 머리말
II. 문인 교류의 기반과 외교 관계
III. 문인 교류의 양상과 새로운 자료
IV.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창수 Kim, Chang-Su.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HK+사업팀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