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신과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노래 만들기에서 도출된 노래가사 분석

원문정보

Lyrics Analysis of Songs Written by Psychiatric Inpatients

오선화, 문지영

피인용수 : 1(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ir needs through the lyrics analysis of 70 songs written by psychiatric patients in E hospital, and to provide idea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ong writing in the clinical setting. The analysis was a mixed conten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Roberts and McFerran(2013) using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The total of 30 cod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ductive analysis, which were then summarized into 17 labelled codes – ‘feeling’, ‘encouragement’, ‘sense’, ‘wish & want’, ‘change’, ‘attitude of life’, ‘journey’, ‘awareness’, 'insight into disease’, ‘relationship’, ‘memory’, ‘place’, ‘person’, ‘music’, ‘food/medicine/alcohol’, ‘nature’, ‘supportive environment’. The 17 labelled codes were identified to fall into 8 categories that include ‘emotion/feeling’, ‘life’, ‘awareness’, ‘relationship’, ‘memory’, ‘place’, ‘person’, ‘event/thing’, Finally, these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2 themes - ‘internal resource’ and, ‘external resource’. Lyric analysis of each of the eight categories using the deductive method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ly covered theme in the lyrics was ‘emotion/feeling’, followed by ‘life’, ‘awareness’, ‘relationship’, ‘memory’, ‘place’, ‘person’, and ‘event/thing’.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iatric inpatients benefit from lyric writing as they have therapeutic experience called ‘resourcing’ which provides them with psycho-social suppor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E병원에 입원한 정신과 환자들이 만든 노래 70곡의 가사 분석을 통해 그들의 필 요를 파악하고, 임상 현장에서 노래 만들기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가사분석은 Roberts와 McFerran(2013)이 제시한 혼합된 내용 분석방법(mixed methods content)으 로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귀납적 분석 방법에 따라 도출된 총 30개의 코드 (codes)는 공통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감정’, ‘북돋아줌’, ‘감각’, ‘바램’, ‘변화’, ‘삶의 태도’, ‘여 행’, ‘인식’, ‘병식’, ‘관계’, ‘기억’, ‘장소’, ‘사람’, ‘음악’, ‘음식/약물/알코올’, ‘자연’, ‘지지적 환경 을 제공하는 것’의 17개 코드(labelled codes)로 요약되었다. 요약된 17개의 코드는 이후 ‘감정/느 낌’, ‘삶’, ‘인식’, ‘관계’, ‘기억’, ‘장소’, ‘사람’, ‘사건/사물(thing)’의 8개 카테고리(category)로 범 주화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내적 자원’, ‘외적 자원’이라는 2개의 주제(theme)로 분류되었다. 8개 각 각의 카테고리(category)에 해당되는 내용의 가사를 연역적 방법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사의 내용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내용은 ‘감정/느낌’, ‘삶’, ‘인식’, ‘사건/사물’, ‘사 람’, ‘장소’, ‘관계’, ‘기억’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정신과 환자들은 노래 만들기에서 가사 만 들기 방법을 통해 ‘자원화(resourcing)’라는 심리, 정서적 지원과 관련된 치료적 경험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요약
방법
1. 노래 만들기 과정
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엄격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결과
1. 귀납적 내용 분석 결과
2. 연역적 내용 분석 결과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오선화 Oh, Sun Hwa. 서울시 은평병원 음악치료사
  • 문지영 Moon, Ji Young.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The Use of Songs in Music Therapy With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네이버 원문 이동
  • 2Baker, F., & Wigram, T. (2008). 치료적 노래 만들기: 음악치료의 임상 및 교육을 위한 지침서 [Songwriting: methods,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M. H. Chio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2005). doi:10.1093/mtp/25.1.66
  • 3Borczon, R. M. (1997). Music therapy group vignettes.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s. doi:10.1093/mtp/18.1.81
  • 4Bruscia, K. E. (1998). The dynamic of music psychotherapy. Gilsum, NH: Barcelona Publisher.
  • 5Cha, K. H. (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Social Science Research of Hoseo University, 18, 575-595.
  • 6Choi, A. R. (2013). 음악 감상에서 가사의 유무가 직장인들의 기분 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with lyrics on the mood state of worker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 7Music and Soulmaking: Toward a new theory of music therapy네이버 원문 이동
  • 8Choi, J. B., Rhee, E., & Yoon, H. Y. (2017). 도박중독자 가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based music therapy on the emotional adaptation of gambling addicts’famili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 27-46.
  • 9Choi, N. R. (2015).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활동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ng-focused therapeutic activit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self-esteem and feeling of happines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 10Choi, Y. Y. (2012). 긍정심리치료가 사회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 불안, 낙관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on social anxiety,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social phobia-pron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