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불효녀 설화에 나타난 가산(家産)의 의미와 가족윤리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aning and Family Ethics of Family Property in the Tales of the Unfilial Daughter

정경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ories, recognized as the most valuable of oral tales and handed down to the most diverse types of reproductions are those related to -'filial behavior'-. In the case of unmarried sons, married sons, and daughters-in-law, the subject of the act is reinterpreted in various ways, while in the case of married daughters, it tends to remain the story of an unfilial woman. In this study, stories of unfilial daughters are extracted from the Korean Gubi Literature Grand Prix and divided into four types. Analysis of these four types show that unfilial behavior was larg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family propert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change in the family order, where women ar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distribution of family property and from their families due to “chul-ga-oe-in” discourse. The daughter's unfilial behavior is based on the emotional alienation and dissatisfaction of the explicit outsider, and driven by the realistic needs of a poor economic situation in her marital home. However, in the story, it is described as the greed of the daughter and becomes subject to ethical criticism which shows a circular structure, leading again to the theory of the useless daughter. The dual attitude of parents who want to be recognized as such while excluding their daughter as an outsider eventually leads to disagreement with their daughter. Daughters thinking they have some right to their family property and parents’ dual attitudes are ultimately contradictory to the unnatural patriarchal family order.

한국어

구전설화에서 가장 가치 있는 이야기로 인식되는 동시에 가장 다양한 유형의 이야기로 전승되는 설화는 ‘효’와 관련된 설화이다. 그런데 효행의 주체가 미혼 아들, 기혼 아들, 며느리의 경우에는 효/불효 설화가 다양하 게 전승되는 반면 미혼의 딸의 경우에는 효녀 설화로, 기혼의 딸의 경우 에는 불효녀 설화로 전승되는 특징을 보인다. 본고는 친정부모-기혼의 딸 관계에 있어 딸의 ‘효’ 관련 행위 방식이 ‘불효’라는 공통된 양상을 보인다 는 점에 주목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먼저 딸이 친정부모에 대해 불효 행위를 하는 설화들을 불효녀 설화라고 명명하고, 그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어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추출 하였다. 네 가지 유형을 분석한 결과 불효 행위는 대체로 친정 가산의 분 배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이는 여성이 가산의 분배에서 완전히 제외되고, 출가외인 담론으로 인해 친정에서 배제되었던 가족질서의 변화 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불효녀 설화에서 출가한 딸의 불효 행위는 노골적인 외부인 취급, 즉 ‘배제’에 대한 감정적 소외, 불만에 기초하고 있으며, 시집의 열악한 경제 사정으로 인한 현실적 필요에 의해 추동되었다. 그런데 설화에서는 딸 개 인의 탐욕으로 서사화되어 윤리적 비난의 대상이 되고, 이는 다시 딸의 무용론으로 이어지는 순환구조를 보인다. 그런데 딸을 출가외인이라고 배 제하면서도 부모로서의 권위는 인정받으려는 친정 부모의 이중적인 태도 는 결국 딸과의 불화로 귀결된다. 친정 가산에 대해 어느 정도 권리가 있 다고 생각하는 딸들의 모습과 기혼 딸의 존재를 완전히 배제하는 친정 식구들, 또 딸은 소용없다면서도 실제적인 봉양을 기대하는 부모의 이중적 인 태도 등은 결국 부자연스러운 가부장제 가족질서의 모순을 드러낸다 고 하겠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불효녀 설화의 유형별 전승 양상과 서사적 특징
3. 가산 분배와 가족윤리의 상관관계
3.1. 가산 분배에 따른 ‘효/불효’의 의미화
3.2. 딸 ‘배제’의 가족 담론과 ‘효’ 윤리의 모순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경민 Chung, Kyung-min.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융합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