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의 출산율증대를 위한 공교육 활성화 방안과 사교육비 절감방안 탐색 -스웨덴 교육 도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xploring ways to revitalize public education and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s to increase fertility rate in Korea -Focusing on Sweden Education Introduction-

이주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uth Korea is the lowest birthrate in the world with only 0.95 total fertility rate in the third quarter of 2018.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supporting huge budget and trying to solve the problem, but it has not been effective and has become increasingly serious problem of low fertility. The academic community has also studied various causes of such low fertility problems in Korea.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education costs and low fertility rates, and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the issue of private education costs and low birth rates among child education expenses.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there was a negative effect between private education costs and childbirth. In addition, there have been researches that private education is expanding in the situation where public education is at risk due to various reasons,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are further increased.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ways to stimulate public education, reduce private tutoring costs, and increase fertility rate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in general and sought to find a solution. For this purpose, I refer to Swedish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carefully reviewed and analyzed in the preceding articles and various academic materials. As a result of the study,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could be divided into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First of all, the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were firstly anxiety of students and parents because of frequent education revision. As a result, public education faced a crisis of losing trust. Second, the main role of education disappears in the entrance examination - oriented education field and it is a problem of the memorization class which injects only the simple answer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of the prestigious school. Third, competition and order are more important than cooperation, which hinders integrated education and deprives the economically marginalized in the discriminative environment. Fourth, the students were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develop aptitude and creativity, self - 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social development in a rigid and uniformized infant education environment. Fifth, education and academic-centered accidents were prevalent in the education field, which forced them to pay excessive private education expenses to enter a prestigious university. As a result, the unemployment rate of highly educated workers is increasing due to the over-supply of highly educated workers in the industrial field. Sixth, there is a serious problem i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student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there is no rest and leisure. The problems of private tutoring are as follows: First, they stimulate polarization of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by parents’ socioeconomic ability, foster fierce competition and justify discrimination, and promote deprivation and loss feeling in economically marginalized class. Second, preliminary learning led to the collapse of the classroom by encouraging students to lose their interest in school classes and sleep. Third, by only injecting and memorizing the test answers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t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period of youth and promoted the phenomenon of human robotization. Fourth, it instigated students and parents unconditionally serious anxiety and attracted huge amoun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ay to activate public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promotes democratic spirit and realizes integrated education during school class. Second, a consistent direction of public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restore student and parent trust in public education. Third, the grant of free public education expenses should be expanded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Korea, so that free education support for both infant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This should eliminate the economic burden on parents due to the cost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Fourth, student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test stress by prohibiting classroom-based instruction that induces discrimination. Fifth, students should be trained to practice practical skills in the industrial field by practicing individualized classes focusing on student aptitude development. Sixth, creativity development and independence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to foster human resources with independent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fusion thinking. Seventh, we need to develop social competence to cooperate through active discussion classes. Eighth, by allocating the right number of students to one teacher, the teacher should be able to provide customized guidance according to individu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hile having enough interest for individual students. Ninth, by enacting anti-discrimination laws, mutual respect for human rights should be made possible. The tenth, relaxed and affordable school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ensure that students are on their own. The eleventh, in order to restore the authority of the teacher, the bureaucratic uniform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vised thoroughly and the autonomy and morale of the teacher should be raised. As a way to reduce private tutoring,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henomenon of demanding manpower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the industrial complex. Second, the process-oriented absolute evaluation should be settled in the college admissions system. To do this, we must eliminate the sequential relative evaluation centered on the subject. Third, the industry must pay fair wages and fair wages based on abilit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henomenon of paying wage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academic background, and to improve social awareness. Fourth, the supervision and supervision of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should be thoroughly implemented in order to prevent the act of inducing excessive private education expenses or proceeding with prior learning. The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if the above measures are settled in the education field and the public education is revitalized and the necessity of private tutoring becomes unnecessary, it prevents the excessive expenditure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prevents the phenomenon of avoiding marriage and childbirth due to the burden of education for childre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In addition, the restoration of national trust and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society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tudents and enable them to become suitable human resources for the 21st century creative society and contribute to social, national and global develop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was difficult to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educational policies and that the revised education policies had not been passed through sufficient national consensus as the regime changed and that it could prevent national confusion and anxiety Because of the uneasy expectation, it was difficult to have a clear and realistic suggestion for the public education promotion plan. The new public education policies that are being pursued in the future will need to be studied more extensively in detail once again while observing the processes applied and applied to the school in a more in-depth manner.

한국어

한국은 2018년 3분기 합계출산율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0.95명을 보임으로서 최저 출산국이 되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며,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오히려 점차 더 심각한 저 출산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학계에서도 한국의 이러한 저 출산 문제의 원인을 다양하게 연구해 왔다. 그중 자녀교육비와 저 출산율과의 관계를 검토한 연구들이 다수 있어왔고, 자녀교육비 중 사교육비와 저 출산의 문제와 관련한 연구도 다수 있어왔다. 이러한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사교육비와 자녀출산 간에는 부정적 영향이 미치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원인으로 공교육이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사교육이 팽창되어, 사교육비를 더욱 가중시킨다는 연구도 있었다. 하지만 공교육 활성화 방안과 사교육비 절감방안, 그리고 이를 통한 출산율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진했다. 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교육전반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스웨덴의 교육을 참고 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논문과 다양한 학술 자료들을 면밀하게 비교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교육의 문제점은, 공교육과 사교육으로 나눠 검토할 수 있었고, 우선 공교육의 문제점은 첫째, 잦은 교육개정 때문에 학생과 학부모들이 불안이 가중되었다. 이로서 공교육이 신뢰를 잃으면서 위기에 봉착했다. 둘째, 입시위주의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본 역할이 사라지고 명문학교 입시를 위한 단순 답안만 주입시키는 암기식 수업의 문제점이다. 셋째, 협력보다 경쟁과 서열을 우선시함으로써 통합교육을 저해하고 차별적 환경에서 경제적 소외계층에 박탈감을 갖게 했다. 넷째, 경직되고 획일화 된 주입식 교육환경에서 학생들의 적성개발 및 창의성 발현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결정능력, 사회성 발달 등의 기회를 박탈시켰다. 다섯째 교육현장에 학력과 학벌위주의 사고가 팽배해 무조건 명문대학을 진입하기 위한 과도한 사교육비를 지불하게 했다. 이로서 산업현장에 고학력자들의 과잉공급으로 고학력자들의 실업률을 증가시키고 있다. 여섯째 휴식과 여유가 없는 교육환경에서 학생들의 심신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다. 사교육의 문제점은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능력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의 양극화를 조장하고 치열한 경쟁 심리를 조장해 차별을 정당화 하며, 경제적 소외계층에 박탈감과 상실감을 조장했다. 둘째, 선행학습으로 학생들이 학교수업에 흥미를 잃어 잠을 자는 상황을 조장해 교실 붕괴를 초래했다. 셋째, 대학입시를 위한 시험답안만 주입시키고 암기시키는 훈련만 하여 청소년시기의 전인적 발달을 저해하고 인간 로봇화 현상을 조장했다. 넷째, 학생과 부모에게 무조건 심각한 불안을 조장하여 막대한 사교육비를 쏟아 붓도록 유인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첫째, 학교수업 중에 민주주의 정신을 고양시키고, 통합교육을 실현해야한다. 둘째, 일관성 있는 공교육방향을 확립하여 공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셋째, 공교육비의 무상지원을 한국현실에 맞게 단계별로 확대해 나감으로서 영유아교육부터 대학교육까지 모두 무상지원을 현실 화 해야 한다. 이로서 자녀교육비로 인한 학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없애야 한다. 넷째, 차별을 유발하는 서열 평가중심의 수업을 금지하여 학생들이 시험스트레스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의 적성개발에 초점 맞춘 개별 맞춤형 수업을 실천하여 산업현장에서 실질적 능력발휘가 가능한 인재를 양성을 해야 한다. 여섯때, 창의력개발과 자주성 신장수업을 활성화하여 자주적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융합형 사고를 지닌 인적자원으로 양성해야 한다. 일곱째, 활발한 토론수업을 통해 상호협력 하는 사회성이 발달되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교사 1인에 적정학생수를 배정함으로서, 교사가 개별 학생에게 충분한 관심을 갖는 가운데 개별적성과 특성에 맞게 맞춤형 지도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아홉째, 차별금지법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상호인권존중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열 번째, 휴식과 여유가 있는 학교환경을 조성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심신건강을 지키도록 해야 한다. 열한 번째, 교사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관료제적 획일적 교육시스템을 전면 수정하고 교사의 자율권과 사기를 높여주어야 한다. 사교육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산업형장에서 학벌과 학력에 따른 인력을 수요하는 현상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대학입시제도에서 과정중심의 절대평가를 정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교과목 중심의 서열 형 상대평가를 없애야한다. 셋째, 산업현장에서 능력에 따른 정당한 예우와 공정한 임금을 지불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력과 학벌에 따라 임금을 지불하던 현상을 개선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개선해야 한다. 넷째, 과도한 사교육비를 유도하는 행위나, 선행학습을 진행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사교육시장에 대한 관리 감독을 철저하게 시행해야 한다. 본 논문의 시사점은 위와 같은 방안들이 교육현장에 정착되어 공교육을 활성화 시키고, 사교육의 필요성을 무의미하게 한다면 사교육비의 과다한 지출을 방지하고, 자녀교육비 부담으로 결혼 및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을 막아내어 저 출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더불어 국민적 신뢰가 회복되고 통합사회가 정착됨으로서 학생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21세기 미래창조사회에 필요한 적합한 인적자원으로 거듭나 사회・국가・세계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본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이번 정권이 바뀌면서 새롭게 개정된 교육정책들이 충분한 국민적 합의를 거치지 않은 가운데 시행되고 있어, 이에 대한 실효성을 예측하기 힘들었던 점과, 이에 대한 국민적 혼란과 불안을 방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한 기대 때문에, 공교육 활성화 방안제시에 대한 명료한 현실적 제언을 갖기가 힘들었던 점이다. 추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공교육 정책들이 학교에 적용되고 실행되는 과정들을 좀 더 깊이 있게 지켜보면서, 사회적 실효성을 거두는 부분에 대한 미진한 점을 다시 한 번 폭넓게 구체적으로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한국의 교육
2.2. 스웨덴의 교육
2.3 한국과 스웨덴의 교육 비교
2.4 선행연구
Ⅲ. 한국의 교육 현황
3.1 한국의 공교육 현황
3.2 한국의 사교육 현황
Ⅳ. 한국 교육의 문제점
4.1 한국 공교육의 문제점
4.2 한국 사교육의 문제점
Ⅴ. 한국의 출산율 증대를 위한방안
5.1 출산율 증대를 위한 공교육 활성화방안
5.2 출산율 증대를 위한 사교육비 절감방안
Ⅵ. 결 론
참고문헌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주은 Ju-Eun Lee. 강동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