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재 수리에 사용되는 석회의 생산과 제조 사례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parison of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of Lime in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between Korea and Japan

강소영, 김은경, 안선아, 남병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upply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lime materials used for repair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oth countries through case studies of cultural heritage sites. Historical records on official constru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histor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revealed details such as former names, use and amount of traditional lime in Korea. However, the standard of traditionally manufactured lime is ambiguous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on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s. In addition, because each constructor had a different standard for the traditional methods, the lime used in the repair of cultural heritage today reflect the minimum requirements and site conditions described in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 of Culture Heritage. On the other hand, Japan is repairing cultural heritage using materials produced by traditional methods. At the same time, it has recognized the need for a national system to prevent possible problem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traditional materials,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cent decrease in number of manufacturing companies. The manufacturing of traditional lime in Japan has been sustained through an apprenticeship system and word of mouth. Repairs to important cultural heritage are recorded, and such records are utilized for the restoration of other sites. This paper compar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lime used i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sit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in the establishment of a reliable quality standard for traditional lime.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문화재 수리에 사용된 석회의 재료 수급과 제조 방법을 비교하고 실제 문화재 수리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사례를 통해 양국의 특징을 파악 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실록과 의궤, 실학서를 통해 전통 석회의 옛 명칭이나 용도, 사용량 등은 확인할 수 있으나, 제조 방법이나 시공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이 기술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통 방법으로 제조된 석회’에 대한 기준이 모호한 상황 이다. 또한 시공자마다 전통 방법에 대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문화재 수리 시 문 화재수리표준시방서에 기술된 최소한의 기준과 현장 상황 등을 반영하여 석회가 사용되고 있다. 반면 일본은 주로 전통 방법으로 생산된 재료를 사용하여 문화재를 수리하고 있으나 최근 생산업체가 급감하여 향후 전통 재료의 수급에 문제가 발생 하지 않도록 국가 차원의 제도가 필요함을 인지하고 있다. 일본의 전통 석회 제조 방법은 도제제도와 구전을 통해 전승되고 있으며 중요 문화재의 경우 수리 기록이 남아있으므로 이후에 진행되는 문화재 수리 복원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 한국과 일본의 중요 문화재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석회의 적용 사례를 파악 하기 위해 국내 궁능과 일반 문화재 수리 현장, 일본 히메지성에서 사용되고 있는 석 회의 제조 과정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전통 석회의 품질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석회 생산과 공급 현황
Ⅲ. 문화재 수리용 석회 제조 및 배합 기준
Ⅳ. 문화재 수리용 석회 제조 사례
1. 국내 문화재 수리 현장
2. 일본 문화재 수리 현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소영 Kang, So-yeong.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김은경 Kim, Eun-kyung.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안선아 Ahn, Sun-ah.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남병직 Nam, Byeong-jik.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