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울산 중산리 출토 철제찰갑의 과학적 보존처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Iron Armor Excavated from Joongsan-ri, Ulsan

박영환, 김미현, 윤혜성, 이재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ron armor excavated from Joongsan-ri in the 1990s has not been conserved but the condition at that time of excavation has been well preserved due to soil on the site was excavated and carried with it. The way of collecting the armor in situ at the excavation site was the optimum conserva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its form to maintain the shape. However, corrosion has been caused by the material properties of iron, which led to additional cracks and swellings separating its pieces from soil. Each of the pieces had archaeological information which would be useful for restoration. To obtain scientific information, the microscopy, X-ray test and component analysis were conducted before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to choose suitable methodologies for some parts of the conservation process,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heavy weight of soil attached to the armor made it difficult to display and also it would cause cracks after conservation treatment, therefore it needed to minimize its risk. For other parts except the armor, the surface of them was treated with soil separated from the armor to give the on-the-spot atmosphere of the excavation site. Lastly, a special storage frame which is possible to put in the armor and support respectively was made for safe storage, transfer and various exhibitions. During the conservation process, it is significant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armor was precisely measured in cooperation with the archaeological research team which allowed us to secure archaeological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한국어

울산 중산리 출토 철제 찰갑은 1990년대 발굴되어 보존처리가 이뤄지지 않은 상 태였지만 발굴 당시 유적의 흙과 함께 수습되어 출토 상황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 다. 발굴 현장에서의 유물 수습은 찰갑의 형태적 특징을 고려한 최선의 보존 방법이 다. 하지만 철기라는 재질적 특성에 의해 부식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추가 발생 한 균열과 팽창은 찰갑편들을 흙과 분리시키고 있었다. 보존처리에 앞서 현미경 조 사, X선 투과조사, 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과학적 정보를 기록하고, 보존처리에 필요한 일부 과정은 사전 실험을 통해 적합한 보존처리 방법을 설정하였다. 찰갑에 부착 된 흙은 무게로 인해 전시 활용을 어렵게 하고, 보존처리 이후 균열을 발생시키는 위 험요소가 되기 때문에 최소화시키는 보존처리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찰갑에서 분리시킨 흙은 복원 부위의 표면 처리에 사용하여 출토현장과 유사한 분위기를 연 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찰갑과 지지대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전용 보관틀을 제작하 여 유물의 안전한 보관 및 이동, 다양한 전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소장처의 고고학 연구팀과 협업하여 마감 전 상태의 하부 바닥면을 정밀 하게 실측하는 등 고고학적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과학적 조사 및 예비 실험
1. 과학적 조사 및 분석
2. 예비 실험
Ⅲ. 찰갑의 보존처리 과정
1. 해포 및 출토면 보강
2. 바닥면 보존처리
3. 출토면 보존처리
4. 보관틀 제작 및 마무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환 Park, Young-hwan.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김미현 Kim, Mi-hyun.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윤혜성 Youn, Hye-seong.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재성 Lee, Jae-sung.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