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방언 보전 방안 연구 : 무형문화재 지정 및 표준어 정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Conservation of Korean Dialects : Focusing on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김용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ny Korean dialects retain local civic color, ethnic life history, and the etymology of their native language. A few dialects are also important material for the formation and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Dialects, like above, have enough value as cultural property. These dialects, however, are perceived as languages used by uncultured people in the countryside and their use layer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standard language policy in Korea. In addition, some vocabularies of dialects are already dead or in danger of disappearing. Accordingly, it is required a plan which is to preserve dialects and make Korean language enrich by increasing the use of unique dialects of local areas. A few things are needed to designate dialects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abolish Korean standard language policy, to amend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 and introduction of multiple standard language system for preserving Korean dialects. It is, therefore, needed to recognize ‘local community’ as a communicator itself through revis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t is also required that inheritance and preservation which are centered on the typical type of the cultural heritage rather than the original one of it should be provided through accept the concept and the use of the ter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stead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in the law concerning cultural properties.

한국어

한국의 많은 방언(사투리)은 지역적 향토색과 한민족의 생활사 및 고 유어의 어원을 간직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방언은 한민족의 형성과 역 사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방언은 이처럼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들 방언은 표준어 정책 등으로 말미암아 교양 없는 사람들이 시골에서나 사용하는 언어로 인식돼 그 사용층이 점차 감소하고 있고, 일부 어 휘는 이미 사멸했거나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따라 방언을 보전 하고 지방의 고유한 방언사용을 늘려 한국어를 풍부하게 하기 위한 방 안 마련이 요구된다. 그 방안으로 방언의 무형문화재 지정과 표준어 정책 폐지 또는 복수 표준어제 도입, 그리고 ‘문화재보호법’, ‘무형문화재법’ 등의 보완이 필 요하다. 이를 위해 ‘문화재보호법’을 개정해 ‘지역공동체’를 전승주체로 인정하고, 무형문화재 대신 광의의 ‘무형문화유산’이라는 개념과 용어 사용을 문화재 관련법 내에 수용해 원형이 아닌, 전형(典型) 위주의 보전 과 계승책이 마련돼야 한다.

목차

국문요약문
Ⅰ. 서론
Ⅱ. 한국 표준어 정책과 방언
1. 표준어 정책
2. 방언과 표준어 정책의 상관성
3. 한국의 방언
Ⅲ. 방언의 문화재적 가치 및 문화재 지정 방안
1. 무형문화재법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협약
2. 방언의 문화재적 가치
3. 방언의 무형문화재 지정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갑 Kim, Yongkab. 전남대 문화재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