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발인행렬 시 사용된 횃불과 제등提燈의 변천

원문정보

Study on the changes of the traditional torch and handing lantern-in the coffin parade of royal family in Joseon dynasty

설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uneral lanterns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 light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funeral lantern can light its neighborhood while it is moving can be used most of in royal parades. “Barinbanchado”(Drawing of Starting of a funeral procession) listed in Kukjangdogameuigwe(Illustrated Book of State Funeral Protocols) shows procession of funeral biers from the royal court to the royal tomb. Because funeral procession started in early morning which was still dark, the procession looked like a splendid and festive lantern parade. In the ritual, lanterns were ritual things to show magnificence of royal family and sacredness of fire as well as to light neighborhoods. In this paper, it was studied in two ways. First, types and meaning of funeral lanterns were reviewed. Second, the number of lanterns in the procession and the places that lanterns were used were identified. Funeral lanterns used in royal family were torches, hanging lanterns and candles. By the middle of JoseonDynasty, torches were mostly used. When King proceeded outside the palace, torches were required. If they were not prepared, retainers might be reprimanded. In late Joseon, hanging lanterns and candles were used. Up to then, hanging lanterns were mainly used in Buddhism and they were produced for Yeondeunghoe(the Lantern Procession) or Palgwanhoe. A funeral procession was to show magnitude of royal family in addition to its original function as moving coffin to the royal tomb. This characteristic made funeral lanterns more necessary. For the procession from 11 p.m. to 1 a.m. enormous number of funeral lanterns was needed. The procession of hundreds lanterns attracted people’s attention easily even from the distance. Sinbaekyoye and Shinyew here the body and spirit of a king were placed were ornamented with 12 three-colored candles and Daeyeo was highlighted with 40 Hwacheolchorong. To add Geohwaand Mangchok around it, you can easily imagine the procession surrounded by 1,000 lanterns. To emphasize the solemn procession, ‘light’was used. In particular, Emperor Kojong executed funeral procession of Queen Myungseong right after the proclamation of Korean Empire, which was postponed. 2,700 funeral lanterns were used to decorate Daeyeo. It is the look of Daehan Empire that Emperor Kojong tried to show to the public and the Japanese military who dreamed of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state rather than being coerc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In this paper, funeral lanterns were researched through literature. Funeral lanterns can be understood as devices for restoration.

한국어

제등(提燈)은 휴대용 등촉기구를 총칭한다. 발인행렬을 보면 횃불과 제등이 함께 사용되었다. 횃불은 제등 이전부터 자주 소용되었으며 제등이 일반화되기 이전까 지 횃불과 혼용되었다. 횃불과 제등의 장점은 휴대성이다. 이동하면서 불을 밝힐 수 있다는 점은 왕실의 발인행렬에서 필수적이었다. 발인은 어두운 새벽에 일어나기 때문에, 행렬의 모습이 화려한 횃불과 제등(提燈)의 행렬이라 하여도 무방할 것이 다. 제등은 신련과 대여 주변을 집중적으로 밝혔다. 제등은 밤길을 밝히며 다닐 수 있다는 실용성과 왕실의 장엄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하나의 기구였던 것이다. 국장 도감의궤에 수록된 <발인반차도>는 왕실에서 왕릉까지 상여의 이동행렬을 그린 것이다. 이를 토대로 발인행렬 시 사용된 횃불과 제등의 역할에 관해 고찰해보았다. 본 연구는 첫째 발인행렬 시 사용된 횃불과 제등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횃불은 거화(炬火)와 망촉(望屬)이 확인된다. 거화는 홰에 불을 붙인 것이며, 망촉은 긴 초 에 불을 붙인 것이다. 제등으로는 등롱과 초롱이 사용되었다. 롱(籠)에 초를 사용하 는 초롱과 등을 사용하는 등롱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행렬 시 소용된 횃불과 제등의 변천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시대에 따라 거화와 망촉의 개수는 점 차 줄어들었으며, 초롱과 등롱은 점차 증가하였다. 이는 시대상황의 변모와 제작기 술의 발전이 밀접한 요인이 되었다. 발인행렬 시 사용된 횃불과 제등의 종류를 살펴 보며 그 흐름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발인행렬에 사용되는 기물은 다양하다. 그중 횃불과 제등은 대여와 신련에 집중 되었다. 특정 위치에 존재하였다는 것은 불을 밝힌다는 실용적 기능을 갖추는 동시 에 의물의 하나로서 여겨졌던 것을 의미한다. 발인행렬은 단순히 장례행렬 뿐 아니 라, 백성들에게 왕실의 위엄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행위였기 때문이다. 실록과 국장도감의궤 등의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발인행렬에 사용되었던 횃불 과 제등의 종류와 변천을 파악해볼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횃불과 제등의 종류
1. 횃불[炬火]
2. 등롱(燈籠)과 초롱[燭籠]
Ⅲ. 발인행렬과 횃불과 제등
1. 거화(炬火)와 망촉(望燭)
2. 삼색초롱과 화철초롱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arct

저자정보

  • 설지희 Seol, Jih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무형유산융합학과 무형유산학 전공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