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자수박물관 소장 <채담방장彩毯房帳>을 통해 본 조선시대 카페트의 조형과 표현기법

원문정보

A Study on Expressive Technique and Design of Joseon’s Carpet through ‘Che-dam Bang Jang’ owned by Museum of Korean Embroidery

심연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wo Bang-jang in the Korean Embroidery Museum have used two special materials called “Che-dam” which can not be seen with the relics of other Bang-jang. The carpet used for the Bang-jang was named as ‘Che-dam’ after researching the literature record from th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It is found that carpet used back then was mainly for a rug or curtain. After analyzing the fiber for a weft from the two pieces of Che-dam, it was possible to tell the structure of fiber was flat and coarse wool fiber mixed with round and thin wool. The type of wool was revealed to be from the native Korean goat or lamb. Moreover, a warp of the carpet was cotton and a weft used was wool which were woven as weft faced plain weave. The color is thought to be originally red. The pattern of the carpet was all designed with drawings and the edge of the pattern is wrapped with an ink line while the inside is colored red. The pattern of the first carpet had drawings of lotus pond pattern, nine lions, orchid, bat, peach, properties of the Eight Daoist Immortals, butterfly, flowers and so on. The second carpet had the drawings of nine lions, Reeve's spiraea, herbaceous flowers, Chinese 卍 character, and so on. Both of the carpets had the drawings of nine lions which were mostly used for the Japanese Jo-seon-chul from the sixteenth century. With t he r esults o f comparing the carpet owned b y Museum o f Korean Embroidery and the Jo-seon-chul of Japan from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we could confirm these carpets were made at the same place because they showed similar fabric types and weaving characteristics. ‘Che-dam Bang-jang’ owned by Museum of Korean Embroidery is an important artifact not only to understand the craft of wool carpets in the Joseon Dynasty but also to substantiate the claim of Jo-seon-chul remained in Japan being able to trace it back to Korea.

한국어

한국자수박물관에 소장된 방장 2점은 다른 유물에서는 볼 수 없는 ‘채담(彩毯)’ 이라는 특별한 소재를 사용한 것이 확인된다. 채담방장은 상단, 중단, 하단에 약 4㎝ 너비의 나무를 양쪽에 가로질러 대고 각각 금속 두정으로 고정시키고, 가장자리에 는 선단을 둘러 장식하였다. 경사는 면사(綿絲), 위사는 모사(毛絲)를 사용하였다. 면섬유는 매우 강한 꼬임이 있고, 모섬유는 편평하고 거친 특징이 있다. 현미경 분 석 결과 수모의 품종은 한국 재래종 염소 또는 양으로 밝혀졌다. 조직은 변화평조직 인 위두둑직으로 제직되어 경사가 보이지 않고 표면에는 위사만이 드러나 마치 돗 자리와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채담의 문양은 직조가 아닌 그림과 인염으로 표현했으며 문양의 가장자리는 먹 선을 두르고 안은 붉은색 염료로 칠했다. 문양의 종류는 사자수구문을 비롯하여 연 당문, 난초, 박쥐, 복숭아, 암팔선문 등 각종 길상문양이 시문되었다. 두 점 모두 9마 리의 사자가 함께 묘사된 점이 특이하다. 한국자수박물관 채담의 제작방식과 유사한 유물은 일본에 전래된 ‘조선철’이라 는 직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선철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에서 전래되었 다고 전해지며, 시대별로 기법에 차이가 있다. 한국자수박물관 채담과 같이 변화평 조직으로 제직한 후 그 위에 그림을 그려 문양을 표현한 기법은 18세기 말에서 19세 기 초에 주로 나타난다. 유사기법의 조선철과 한국자수박물관 채담의 직물제직 특 성을 교차 분석해 본 결과 섬유의 품종과 실의 굵기, 꼬임형태, 조직 등이 매우 유사 하여 제작지가 같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모담를 제작하여 깔개와 장막으로 사용된 기록이 있으 나 유물이 남아있지 않아 그 실상을 파악할 수 없었다. 한국자수박물관 채담은 조선 시대 모직 카페트의 조형적 특징과 기법을 이해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이며, 일본에 남 아있는 ‘조선철’이 한국에서 전래되었다고 하는 실증적 자료의 단초를 마련하는 가 치가 큰 유물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채담방장의 구성과 명명
Ⅲ. 채담의 제직 특성 분석
Ⅳ. 채담의 문양 분석
Ⅴ. 자수박물관 채담과 일본 조선철의 제직특성 비교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arct

저자정보

  • 심연옥 Sim, Yeon-Ok.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