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과 긍정적인 생활 사건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among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positive life events and depression - among college students -

정나래, 김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epression is mental disorder that is characterized by decreased positivit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influence depression, and interact with positive life events. College students(n=448) were taken to self report assessment for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emotion clarity, negative rumination, positive and negative life events, depression. As a result, dampening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with positive life event. Positive rumination influenced depression, moreover there wer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including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life events as moderator variable. And negative rumin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depression, but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with negative life events.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responses to positive affect influences depression, and partially interacts with positive life events as stressor.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options were discussed.

한국어

우울증은 긍정성의 감소를 특정적인 요인으로 갖는 대표적인 정신장애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 로 우울증의 정서 조절 기제인 긍정 정서 반응이 우울을 설명하는지를, 그리고 긍정 정서 반응과 생활 사 건이 상호작용하여 우울을 설명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48명을 대상으로 긍정 정서 반응, 정서 인식 명확성, 부정 반추, 생활사건, 우울을 자기 보고식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의 하위 요인 중 가라앉히기(dampening)는 우울 증상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나 긍정 생활 사건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긍정 반추는 유의미하게 우울 증상 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 인식 명확성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긍정 반추와 우울 증상과의 관계에서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 생활 사건의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긍정적 인 생활 경험이 적을 때, 긍정 반추가 높은 사람들은 긍정 반추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정서 인식 명확성이 높을수록 우울 증상을 훨씬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긍정 생활 사건이 많을 때, 긍정 반추와 정서 인식 명확성의 정도에 따른 우울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부정 반추는 우울 증상 에 유의미한 수준으로 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부정 생활 사건과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 구 결과는 긍정 정서에 대한 반응 즉, 가라앉히기 및 긍정 반추가 대학생의 우울 증상에 각각 정적 및 부 적 영향을 끼치며, 생활 사건이라는 스트레스 요인이 이들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 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분석 방법
결과
각 측정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가라앉히기와 긍정 생활 사건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긍정 반추와 우울 증상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긍정생활사건의 조절효과
부정반추와 부정 생활 사건, 우울 증상과의 관계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나래 Jeong Na-Rae.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김은정 Kim Eun-Jeong.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