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ossibilities for the Korean peninsula’s permanent peace began to appear through the North-South summit and the US-NK summit in 2018. Especially, the three rounds of the North-South summit contributed to form trus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nd develop foundation for peace. This paper analyzed the prerequisites to achiev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peace studies, unification by peace, realization of human security, and overcoming the division toward everyday peace have to be achieved. In other words, the path towards the Korean Peninsula’s peac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long-term process including not only political and military factors, but also positive peace where everyday peace can be realized. Furthermore, the Korean Peninsula’s peace must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which encompasses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norms, principles, rules, procedures and the tangibl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 change of trust and awareness.
한국어
본 논문은 2018년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외교적 변화의 분위기 속에서 진정한 한반도의 평화가 달성되기 위해서는 평화학적 관점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에서 항구적 평화가 실현될 수 있다는 희망의 실마리가 나타났다. 특히 2018년 3차례의 남북정상 회담으로 남북 간에는 신뢰가 형성되었고 평화구축을 위한 기반이 조성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분 위기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평화학적 관점으로는 평화에 의한 통일, 인간다운 삶의 실현, 분단 체제의 극복을 통한 일상적 평화가 달성되어야 하겠다. 즉 대외적인 정치・외교·군사적 요소뿐만 아니라 내부 적인 일상적 평화가 실현되는 적극적 평화상태를 위한 장기적 과정으로 인식해야 하겠다. 또한 평화학적 관점 에서 바라본 한반도 평화는 불안정한 평화를 관리하기 위한 규범, 원칙, 규칙, 절차 등의 제도적 집합뿐만 아니라, 신뢰와 인식의 변화를 통한 상호관계의 실질적 변화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파악해야 하겠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평화란 무엇인가?
Ⅲ. 평화학이란 무엇인가?
Ⅳ. 평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Ⅴ.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학적 관점
1. 평화에 의한 통일
2. 인간다운 삶의 실현
3. 분단체제의 극복
4. 일상적 평화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