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증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PAS 프로그램

원문정보

The PAS(Personal Assistant System) Program for the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최성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I. PAS프로그램 추진배경
 II. PAS프로그램 추진
  1. PAS 프로그램의 시동 및 과정
  2. PAS 프로그램 개요
  3. PAS 프로그램 개념도
 III. 장애·갈등극복 토론 및 시험실시 과정
  1. 장애요인
  2. 갈등극복 과정
  3. 문제점과 대안
 IV. PAS프로그램 봉사자 설문조사 및 분석
  1. PAS 이행 봉사자 명단
  2. 이행자 설문조사 분석
  3. PAS 수혜자 명단
  4. 수혜자 설문조사 분석
  5-1.
 V. 향후 추진방향
  1. 흐름도를 통한 일목요연한 체계화 필요
  2. 유관기관에 대한 프로그램 설명과 적극적 협조 활용
  3. 장기 파스(PAS) 프로그램의 민간자원 활용
 VI. 기대효과
  1. 봉사명령대상자의 자발적인 봉사로 재범방지 효과
  2. 자체집행률 제고와 효율적 감독
  3. 맞춤형 봉사서비스 실현 및 속죄·배상효과
  4. 홍보 효과
  5. 국가 재정의 대체 및 절감 효과 창출
  6. 생산적 복지 실현 효과
 PAS 프로그램 가능대상 명단
 PAs 프로그램 준비과정 중 면담한 중증장애우 욕구조사표
 수혜자동의서 (양식)
 봉사 체크 리스트
 파스(PAS)프로그램 집행 등 설문조사
 파스(PAS)프로그램 집행 등 설문조사
 Abstract

저자정보

  • 최성학 Sung-Hak Choi. 법무부 관찰과 서기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