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업 규모별 직업훈련 실태 및 노동시장 성과(임금, 직무만족도)

원문정보

The Effect of Occupational Training of Employees on Wage and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size of the company

문영만, 김종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irst,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was improvement of work ability (93.1%). Participation rate of large companies (17.8%)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5.3%). Second, as a result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wage, education, full-time, union, working hours, job satisfaction, and white color were higher in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training.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was low in age, service years, and manufacturing.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wag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2.0% in total) than the incumbent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Large companies (2.6%) were more influential than SMEs (1.9%). Fourth,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vocational training was significant (+ 5.0%) in panel regression analysis, Influence was greater for large corporations (7.6%) than for small businesses (3.9%). Fifth,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he long-term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was estimated to increase the wage level not only at the beginning of vocational training but also over time.

한국어

본 연구는 기업 규모별 직업훈련 참여 현황과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의 참여목적은 업무능력 향상(93.1%)이 가장 많았으며, 참여비율은 대기업(17.8%)이 중소기업( 5.3%)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임금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정규직일수록, 노조에 가입할수록, 노동시간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관리·전문직 등 화이트칼라일수록 직업훈련 참여비율이 높았다.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에 참여한 재직자의 임금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전체 2.0%), 기업 규모별 영향력은 중소기업(1.9%)보다 대기업(2.6%)이 더 컸다. 넷째, 직업훈련에 참여한 재직자의 ‘직무만족도, 취업의 안전성,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직무만족도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전체 5.0%), 영향력은 중소기업(3.9%)보다 대기업(7.6%)이 더 컸다. 다섯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직업훈련의 장기적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 초기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기적으로도 임금수준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논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2.1. 직업훈련의 개념 및 이론
2.2.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자료 및 기술통계
3.2 변수정의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기업 규모별 직업훈련 현황과 결정요인
4.2. 직업훈련의 기업 규모별 임금 및 직무만족도 효과
4.3. 직업훈련의 장기적 효과(Latent Growth Model)
Ⅴ.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영만 Moon, Young-man. 부경대학교 경제사회연구소 연구교수
  • 김종호 Kim, Jang-ho.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