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임 경찰공무원의 동기부여 요인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tivational Factors of New Police Officers on Job Motivation

홍상훈, 이상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policy alternatives with finding out what factors affect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s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motivation factors on job motivation. For this purpose, 454 new police officers within two years of placement were surveyed by face-to-face or e-mail respons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job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was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al factors of growth potential and social recognition, the relationship factors of human relationship in workplace, relationship with Citizens and the legitimacy of responsibilit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job contents and salary. Nevertheless It can be seen that working environment and the welfare has not influenced. When these factors are combined and compared, It was found to be highly influential in the following order, '①Job contents ②Human relationship in workplace ③Social recognition ④Growth potential ⑤the legitimacy of responsibility ⑥Salary ⑦Relationship with citize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social recognition of police officers as well as to increase the growth potential through specialized education and training, to form smooth human relations, and to rationally allocate work and improve the remuneration system.

한국어

이 연구는 신임 경찰관들의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동기부여 요인이 직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책적 대안을 마련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장배치 2년 이내 신임경찰관 454명에 대해 대면 또는 e메일 송수신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신임경찰공무원의 직무동기에는 성장가능성과 사회적 인정의 발전적 요인과 직장 내 인간관계와 민원인 관계, 책임정당성의 관계적 요인, 직무내용과 급여의 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으며, 근무환경과 후생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이들 요인을 종합하여 비교하면 ‘①직무내용 > ②직장내 인간관계 > ③사회적 인정 > ④성장가능성 > ⑤책임정당성 > ⑥급여 > ⑦민원인 관계’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화된 교육훈련을 통한 성장 가능성 제고를 비롯하여 경찰관의 사회적 인정 향상 및 원활한 인간관계 형성 그리고 합리적 업무배분 및 보수체계 개선 등을 제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상훈 Hong, Sang-Hoon. 서울지방경찰청, 경정, 행정학박사
  • 이상열 Lee, Sang-Yeol. 중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