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양부모가정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부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chool Maladjustment and Self-esteem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Both Parents and Divorced Parents

이영숙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28호 2018.12 pp.127-15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stable home environ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maladjustment and self–esteem. This study surveyed 1,069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For the study a measurement of school maladjustment developed by Park, Keun - su (2003), and the Self –esteem measurement developed by Coopersmith (1967) that revised by Choi, Bo-Ga and Jeon Je-yun (1933) were administered in 2017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to compare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both parents and divorced parents. As a result, middle school students of divorced parents were suffering from school maladjustment compared with those of both parents. Especially, maladjustment to the learning problem, which is a sub - element of school maladjustment, was the largest difference, followed by maladjustment of school rules. The problem of learning of these middle school students of divorced parents means the alienation in the class and meaningless school life which means urgent need to restructure curriculum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method to induce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and school lif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solution at the school board and school level.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f both parents and divorced parents in peer relationship, So a recovery program based on peer groups that can empower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divorced parents can be helpful. Self-esteem was also found to be lower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divorced parents than both parents. Especially, domestic self-esteem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happiness at home was lowest, and social self - esteem was also low, As they are experiencing the fundamental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losest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they need professional assistance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help these problems, it is considered that counseling activities or emotional support programs that help to rest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uld be supported by schools and commun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부모의 지지와 안정적인 가정환경이 필요한 청소년기인 중학생들이 부모들의 이혼으로 겪는 학교생활 부적응과 자아존중감의 문제를 인천소재 남녀 중학교 1,069명을 대상으로 양부모가정 중학생들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방법으로 학교생활 부적응은 박근수(2003)가 제작한 학교생활 부적응 행동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최보가와 전귀연(1933)이 연구개발한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용하여 양부모가정학생들과 이혼가정 학생들을 비교 분석 연구하였다. 그 결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이 양부모가정에 비해 학교생활 부적응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생활 부적응 하위요소인 학습문제에 대한 부적응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뒤를 이어 학교 규칙 대한 부적응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학습의 문제와 학교 규칙 부적응은 수업시간의 소외감과 무의미한 학교생활을 의미하고 있어서, 학습과 학교생활에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재구조화나 교육방법의 개선이 필요하고, 교육청과 학교 차원에서의 해결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교우관계에 있어서는 이혼가정 중학생들과 양부모가정 중학생들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아서, 이혼 가정 중학생들을 위해 또래 친구들과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회복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자아존중감도 이혼가정 중학생들이 양부모가정 중학생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가정에서의 행복의 정도를 묻는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고, 다음으로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나서 가장 가까워야 할 부모와, 친구, 교사와의 관계에서의 근원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성 회복을 돕는 상담 활동이나 정서 지원 프로그램이 학교와 지역 사회가 연계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3. 연구의 제한점
4. 선행연구의 분석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 도구
3. 자료 배포 및 수집 절차
4. 자료의 분석
Ⅲ. 연구결과 분석 및 해석
1. 양부모가정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부적응 차이
2. 양부모가정과 이혼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차이에 대한 t 검증
3. 이혼가정 남∙녀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학교부적응과 자아존중감 차이에 대한 연구 결과
Ⅳ. 결론
1. 양부모가정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대한 연구
2. 양부모가정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3.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학교부적응과 자아존중감에대한 연구
Ⅴ. 논의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이영숙 Lee, Young Soog.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 장학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