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성교육지표의 적정성 인식과 개선방안 - 서울인성교육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cognition of Appropriateness of Personality Education Indicator and Improvement Plan

권일남, 전명순, 김태균

한국효학회 효학연구 제28호 2018.12 pp.71-9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xperts on Seoul personality education, to find out the problems of Seoul personality education Indicators, to find the suita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Indicators and to prepare improvement plan. For this purpose, FGI analysis was performed. 11 expert consultations, and 18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actual indicators of Seoul personality educ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rts' perceptions about Seoul personality education were not right at the point of application of Seoul personality education indicators, but they thought that the direction of Seoul personality education was effective. Second, the problem of the indicators of Seoul personality education is that the burden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recorder in the school field, the ambiguous concept of the meaning of personality education, the burden of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home and village. Third, the opinions of expert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indicators of Seoul personality education. Among the various contents, the revised contents were suggested to clarify the elements of the small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personality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서울인성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점검하고, 서울인성교육지표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인성교육지표의 적합성을 찾고,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FGI분석을 하였다. 11인의 전문가 협의, 18명의 전문가 재설문을 통하여 실제 서울인성교육지표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내용의 변경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인성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은 인성교육지표의 학교현장 적용시점이 맞지 않았으나 서울인성교육의 방향은 효과적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둘째, 서울인성교육지표의 문제점은 학교현장에서 인성교육 기록자에 대한 부담, 인성교육의 의미에 대한 명확한 개념 모호, 학부모와 가정 및 마을참여를 확장해야 하는 부담감, 인성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 미흡이다. 셋째, 전문가 의견을 통해 서울인성교육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러 내용 중 작은 실천의 구성요소 구체화와 인성교육중심에 대한 용어의 명료화, 인성교육의 지원체계 구축 등을 담아 수정내용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적 인성의 발전을 위한 대안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인성과 인성교육의 이해
2. 서울시교육청의 인성교육인 협력적 인성
Ⅲ.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방법
2. 조사내용
Ⅳ. 연구결과
1. 서울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2. 서울인성교육의 인식과 지표에 대한 문제점
3. 서울인성교육지표에 대한 전문가 재설문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일남 Kwon, Il-Nam.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교수
  • 전명순 Jeon, Myong-Sun.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객원교수
  • 김태균 Kim, Tae-Gyu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