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혁신학교 네 가지 가치에 대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 및 변화과정 분석

원문정보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송영범, 강경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sirable direction for school innovation and innovative schools, in relation to the recent atmosphere in which objective evaluation and inspection of the ten-year operation of innovative schools is required. With the four values(democracies, ethics, expertise, creativity) pursued by innovative schools, the differences betwee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and three years of longitudinal analysis were conducted. This study used the data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1st to 3rd years of the Gyeonggi Longitudinal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Institute of Education since 2012.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democracy, it was found that members of innovative schools had higher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and authority,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hool innovation climate, and community relations than general schools. In particular, longitudinal studies have confirmed that democracy tends to decrease in general schools. In the case of eth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eaching at innovative school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in the third year. In the case of expertise, the difference analysis, non-conditional model, and conditional model were both found to have a high percentage of the time spent on exchange and training activities with fellow teachers at innovative schools. In the case of crea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of innovative schools participated in education courses,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during regular classes, and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classes increased in the second year. In the case of a class type, the differ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nstructor-centered classes in general schools was high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In the third year, learners-centered classes at innovative schools were high.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al model showed that the instructor-centered classes of innovative schools had a higher rate of growth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school innovation based on the school typ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 10년간의 운영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점검이 필요하다는 최근의 분위기와 관련하여, 혁신학교의 객관적 점검과 학교 혁신의 바람직한 방향을 찾기 위함이다.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네 가지 가치(민주성, 윤리성, 전문성, 창의성)를 중심으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1~3차년도별 차이분석과 3년간의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교육연구원이 2012년부터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의 1~3차년도 초등학교 교사 데이터를 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주성의 경우, 혁신학교 구성원들의 의사결정 참여 및 권한,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학교 혁신풍토,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일반학교에 비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학교의 경우 민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음을 종단연구를 통해 확인했다. 윤리성의 경우, 혁신학교의 교직만족도가 3차년도에 들어 일반학교에 비해 유의수준에서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전문성의 경우, 차이분석, 비조건모형, 조건모형 모두에서 혁신학교의 동료교사와의 교류 및 연수활동에 대한 일과 중 시간 할애 비중이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창의성의 경우,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련 연수 참여, 정규수업 관련 일과 중 시간 할애 비중, 학생의 수업이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2차년도에 들어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수업형태의 경우 차이분석에서 1, 2차년도에는 일반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가 높게 나타났으나, 3차년도에는 혁신학교의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가 높게 나타났다. 조건모형 분석결과, 혁신학교의 교수자 중심 수업형태가 일반학교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 혁신을 위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2. 혁신학교의 가치 : 민주성, 윤리성, 전문성, 창의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차이
1. 민주성: 민주적 학교운영 체제
2. 윤리성: 윤리적 생활공동체
3. 전문성: 전문적 학습공동체
4. 창의성: 창의적 교육과정
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변화과정
1. 민주성: 민주적 학교운영 체제
2. 윤리성: 윤리적 생활공동체
3. 전문성: 전문적 학습공동체
4. 창의성: 창의적 교육과정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영범 Song, Young-Beom. 인하대학교
  • 강경석 Kang, Kyung-Seok. 인하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