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졸 청년의 눈높이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에 미치는 영향과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the Young College Graduates’ Eye-Level on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and the Moderate Effects of In-School Job Experiences

유재연, 강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important to provide tailored information in the career design proc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factors that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employment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especially the positive activities among various types of job preparation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by using 2014GOMS raw data,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first job transition period according to the personal eye-level, and whether the in-school job experiences as a typical job preparation activ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eye-leve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in 2-3 year college graduates and 4 year college graduates. It means that other factors other than eye level had much bigger influ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ree wage quintile, the higher satisfaction of the eye level of upper income group of 2-3 year college is, the shorter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is. That is to say, the effect of eye level is different according to wage income level. The moderating effect of in-school job experience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ye-level and transition periods to the first job only in the upper wage group of 2-3 year college. In addition, some motives of in-school job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Overall, the effects of the eye-level on the first job transi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ollege and wage level.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school job experiences on the first job transi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tive of in-school job experi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it needs to provide the tailored career guide by the target characteristics, such as college type, eye-level, job experience participation motive, o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한국어

대졸 청년층의 취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진로설계과정에서 눈높이를 고려하여 맞춤형 지원과 정보 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개인특성별로 눈높이가 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각종 취업준비활동 가운데 긍정적인 활동이 무엇인지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그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기대임금 충족 률로 정의한 개인의 눈높이에 따라 일자리 이행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표적인 취업준비활동 으로서 재학 중 직무경험이 이들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모두에서 눈높이 충족률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눈높이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임금 소득 3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의 상위임금계층 집단에서 눈높이 충족률이 높을수록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 임금소득분위에 따라 눈높이 영향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의 상위임금계층 집단에서만 재학 중 직무경험 동기가 생계형 또는 기타인 경우, 눈높이 충족률이 높은 집단에서 재학 중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을 줄이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전문대학의 중ㆍ하위임금계 층 집단과 4년제 대학 모든 집단에서 재학 중 직무경험의 일부 동기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을 줄이고 있다. 눈높이가 첫 일자리 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와 4년제 대학, 임금소득분위에 따라 다르고, 재 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는 직무경험에 참여하게 된 동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특징 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상담과 진로설계·지도가 필요하다. 진로지도 과정에서 개별 학생의 눈높이와 직 무수행능력을 진단하고 기업의 요구를 적절하게 고려한 맞춤형 정보제공과 진로설계·지도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또한 4년제 대학 하위임금계층 등 일부에서는 재학 중의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취업에 반드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에 재학 중 인턴이나 직무체험활동은 개인의 의향과 참여 목적에 맞추어 선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재학 중 자기주도형 진로탐색을 충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 나아가서 대학생들의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그에 기초하여 대학내외의 진로지원 프로그 램을 수요자 맞춤형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노동시장 이행과 눈높이 관련 이론: 제한과 타협이론, 직업탐색이론, 인적자본투자이론, 신호이론
2.2 눈높이와 첫 일자리 이행에 관한 선행연구
2.3 재학 중 직무경험과 초기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3.1 연구모형과 가설
3.2 자료, 변수 그리고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4.1 표본의 특성
4.2 눈높이 현황
4.3 재학 중 직무경험
4.4 가설검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재연 Jae-Youn Yoo. 경기대학교 직업학 박사
  • 강순희 Soon-Hie Kang.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