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ossibility to Acquire Permanent Position through Level of Education, Skill Level, and Major Match in Corporate Internship Participants

원문정보

인턴 참여자들의 교육수준, 기술수준, 전공일치가 인턴참여 직장에서 정규직 채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Ho-Won Kim, Jong-Gu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upcoming new trend of internship, which now consider as a gateway to hold a full-time employment in Korea. This paper employed data from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movement statistics(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o analyze influence of youth internship's performance by measuring the conformity level based on the nature of work to education background, skill set, and college major as main independent variables. Descriptively, higher the conformity level of education background, skill set, and college major to nature of job duty which internship takes place, greater the possibility of being hired as a full-time. Among the three variables, skill set was most dominant factor. In addition to finding out significant variables that led to full-time employment, authors here looked closely to the types of internship participation, which result showed that small business internship and corporate internship have higher permanent position conversion rate than participating in public sector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인턴 참여자들의 업무의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 그리고 전공일치가 청년인턴제 성과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2011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2010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턴 참여 자들의 업무의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 그리고 전공일치 수준이 높을수록 인턴으로 참여한 직장에서 정 규직으로 채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수준 일치여부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턴참여 종류가 인턴참여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될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결과, 참여한 인턴제 중 행정인턴제(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 등)에 참여한 경우 보다는 중소 기업 청년인턴제에 참여한 경우와 기업 자체 운영 인턴제에 참여한 경우, 참여한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채용된 경험이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신규 대졸자의 청년인턴제 참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청년 구직자들이 인턴제에 참여할 경우, 자신의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 그리고 전공이 일치하는 인턴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때 지원하는 것이 정규직 채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행정인턴제와 글로벌(해외) 인턴제의 참여 보다는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와 기업 자체 운영 인턴제에 참여하는 것이 해당 일자리 내에서 정규직화 될 수 있는 가능 성이 높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신의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 그리고 전공을 고려하여 참여할 인턴제를 선 택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2.1 Education Background, Skill Set, College Major
2.2 Internship
Ⅲ. Research Design
3.1 Data
3.2 Measurements
3.3 Models
Ⅳ. Empirical Analysis
Ⅴ. Implication and Limitation
References
국문요약

저자정보

  • Ho-Won Kim 김호원.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Researcher
  • Jong-Gu Lee 이종구. Professo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