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대학생 진로교육 인식과 요구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Awareness and Demand 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이지은, 정윤경, 나현미, 임해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and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KEDI), overall college enrollment rate in 2018 was 69.7%.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systematic career education not only undergraduate students but also countries due to universalization of college enrollment. It is required to find out students’(demand-side) needs, however, numerous studies researched the supply-side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general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niversity career education awareness and need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provide foundation of career education policie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operational strategies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systems. To do this, we selected the subjects of the questionnaire by random sampling using the Access Panel, groups of people who have agreed to regularly participate in surveys, extracted the specimen by random assignment method by grade / majors. By using Access Panel, the students with career education and without career education can be extracted the specimen. This study used 897 samples, the target sample size was 840, of online survey from May 22 to June 21, 2017. In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e career preparation was much more prepared for the higher grades of students and men.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conducting to the career related courses was high in the higher grade. However, 44%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did not benefit from career-related classes and the students of higher grades responded that the career class did not assist to career design. It was suggested that the quality of the career-related lessons provided by the university should be urgently improved. The higher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pected to have a job intern, a hands-on internship. As the lower grades, the students wanted job - oriented lessons related to the major. In addition, the most preferred career training approach was shown to be on-site practice type(52.3%) to help students learn their du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was proposed. The wider range of subject and variables is required for the future studies based on this study.

한국어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2018)에 따르면 2018년 고등학생의 대학교 진학률은 69.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고등교육이 보편화되어 대학생의 체계적인 진로준비를 위한 진로교육은 학생뿐만 아니라 사회·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선행연구에서 대학의 진로교육을 공급자 측면에서만 주로 연구하여 수요자(수혜자)인 대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학 진로교육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고등교육 단계에서의 진로교육 정책방향 및 효과적인 진로교육 체제와 운영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조사에 참여한다고 동의한 Access Panel을 이용한 무작위추출법(random sampling)으로 대상자를 선정하고, 학년별/계열별 임의할당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Access Panel을 이용함으로써 재학 중인 학교에서 진로 및 취업, 창업 등을 준비하기 위해 진로관련 수업을 수강한 적이 있는 학생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이 표본으로 추출될 수 있었다. 조사는 2017년 5월 22일부터 6월 21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고, 조사 시 목표 표본 수는 840명이었으나, 조사 후 유효 표본 수는 897명이다. 대학생 진로교육 인식을 살펴보면, 진로준비는 남학생과 고학년일수록 진로 준비를 많이 하고 있었고, 진로관련 수업은 고학년일수록 수강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관련 수업 수강자 중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 응답이 44%로 나타났고 고학년일수록 수업이 진로설계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하여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관련 수업의 질 향상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들이 원하는 진로관련 수업 방식은 학년이 높을수록 취업인턴, 현장 실습 위주의 수업을 저학년일수록 전공 관련 직무 중심의 수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진로교육 방식은 실무적으로 직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현장 실습형(52.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 및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대학생의 진로발달 이론
2.2.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3.1 조사대상 및 내용
3.2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대학생 진로교육 현황
4.3 대학생 진로교육 인식
4.4 대학생 진로교육 요구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은 Ji-Eun Lee.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문연구원
  • 정윤경 Yun-Kyeong Jeong.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나현미 Hyeon-Mi Rha.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 임해경 Hae-Kyoung Lim.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