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A Study on Women Soldiers Vulnerable to Job Competencies and Re-employment Training Needs Analysis

원문정보

재취업 취약계층 여군을 위한 취업역량 및 교육요구 분석

Hyo Sun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loyed the military holds them competencies analysis and search for a suitable job positions, along with those that want to analyze training needs for re-employ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bility to perform the work lives of Korean woman soldiers is a logical analysis, behavioral adjustment, in order of writing, learning strategies, service light, bottles, high rank, education, etc.,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somewhat, but overall, the items in the matching high competency. Secondly, the army has the ability to dominate the public’s ability to perform the work of 28, 48 out of a total of 20 knowledge skills competence. Third, women soldiers in a competitive profession, education and research 155, construction and machinery sectors 137, management and business sectors 132, were analyzed by the social welfare sector 122. Finally, the training needs analysis results is to read and understand, speak, memory, problem sol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18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 188명의 여군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여군들 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직무능력을 확인하고, 취업역량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KNOW 시스템을 활용해 여군들이 가지는 상대적 우위의 직업(군)을 도출하고, 더불어 복무기간, 복무구분, 병과구분 등 취업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개인별 특성에 따른 보유역량 차이 분석을 통해 취업지원에 필요한 교육정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군의 업무수행능력은 논리적 분석, 행동조정, 글쓰기, 학습전략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성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으나 전체적으로 높은 역량의 항목은 일치하였 다. 둘째, 여군이 일반인 우위를 가지고 있는 역량은 업무수행능력 28개, 지식능력 20개로 총 48개 역량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군이 상대적 우위를 가지는 직업(군)은 교육관련 직업에서 155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건설관련 직업 137개, 관리 관련 132개, 사회복지 관련 122개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요구 분석결과는 업무수행능력에서는 읽고 이해하기, 말하기, 듣고 이해하기, 선택 적 집중력, 사람파악, 문제해결, 판단과 의사결정, 시간관리, 기억력 등의 역량과 지식능력에서는 경영 및 행정, 사무, 심리, 교육 및 훈련, 국어, 영어, 안전과 보안, 법, 의사소통과 미디어 등의 역량 함양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직업군인의 취업역량
2. 여성 군인 형황 및 지원정책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응답자 기초 통계
2. 여군이 보유한 취업역량 분석결과
3. 여군이 상대적 우위를 가지는 역량 도출 결과
4. 여군이 상대적 우위를 가지는 역량을 통한 적합직업(군) 도출 결과
5. 여군이 우위를 갖는 직업(군)으로 전직을 위한 교육훈련 수요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Hyo Sun Park Department of Military Studies, Cheongju University, 298 Daesung-ro, Cheongwon-gu, Cheongju,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